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50 추천 수 2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늘날 대중문화와 관련해서 키치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키치는 독일어에서 온 말로, 모조품, 싸구려 제품 등등을 의미합니다. 현대 대중문화가 갖는 성격의 한 단면을 드러내는 단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대중문화의 키치적 성격을 놓고 저급하다고 비난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키치적 성격은 한편으로 비싸거나 접근이 어려운 예술 작품을 복제해서 전파함으로서 손쉽게 대중이 접근하도록 했다는 점에서 대중화를 가져오기도 했습니다.







예술의 대중화는 과거의 고급예술이라 불리는 것들과 대중예술 사이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면서 미의 기준 자체도 변화시키는 기능을 해 왔습니다. 이른바 복잡하고 테크니컬한 것만이 예술이 아니고, 그냥 자기를 표현한 소박한 것도 예술로 생각하게 된 겁니다.

미술사에서 이와 유사한 중요한 변화는 뒤샹(Marcel Duchamp)이 제기합니다. 다 아시겠지만, 뒤샹은 남성용 변기를 작품으로 전시하면서 ‘샘(fountain)’이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평범한 남성용 변기에 전혀 가공하지 않고 위치만 바꾸고, 서명만 해 놓은 것입니다. 난리가 났습니다. 어떤 사람은 책상을 치면서 ‘내가 먼저 할 수 있었는데’ 이러기도 했다고 합니다. 뒤샹의 문제제기는 명확합니다. 지금까지 예술이란 것은 느낌의 대상이었는데, 이해의 대상이 되었다는 겁니다.

화장실에 있는 변기와 전시장에 있는 변기는 상징적 의미가 다릅니다. 예술을 의미의 관점에서 접근한 겁니다. 예술작품은 이제 아름다움이 아니라, 의미의 문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작품을 보는 사람들은 저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주목하게 되는 겁니다. 작품을 보는 사람에게 그것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제가 떨어진 것입니다. 미는 사라지고 의미가 남은 것입니다. 이게 현대 미술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미술이 한편으로 개념화 되면서 두 가지 극단적인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한 편으로 전문화 되면서, 한 편으로 대중화 되는 겁니다. 의미만 잘 부여한다면 누구나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겁니다. 그러나 실제로 공감을 얻으면서 제대로 평가받을만한 걸 만드는 것은 여전히 어려워지는 겁니다. 그래서 작품은 많아지는데 진짜 의미 있는 작품은 무엇인가라는 논란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물론 이러한 시각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대중들은 여전히 의미보다는 미의 관점에서 예술작품을 만난다거나, 당위의 차원에서 그러한 예술작품의 방향으로 가는 것이 맞는 것이냐라는 문제제기들입니다. 현대 예술을 대하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십니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344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773
160 오감 너머의 영감 風文 2023.06.28 862
159 아르테미스, 칼리스토, 니오베 風文 2023.06.28 767
158 순두부 風文 2023.07.03 806
157 배움은 늙지 않는다 風文 2023.07.04 929
156 60조 개의 몸 세포 風文 2023.07.22 811
155 스승 사(師) 風文 2023.07.22 996
154 꺾이지 않는 힘 風文 2023.07.26 964
153 리더에게 던지는 질문 風文 2023.07.26 1167
152 우주심(宇宙心)과 에고(Ego) 風文 2023.07.27 886
151 괜찮은 어른 風文 2023.07.27 1009
150 흥미진진한 이야기 風文 2023.07.29 875
149 자기 존엄 風文 2023.07.29 865
148 두려움의 마귀 風文 2023.07.30 860
147 청년들의 생존 경쟁 風文 2023.07.30 1115
146 소녀 같은 할머니, 소년 같은 할아버지 風文 2023.08.02 1090
145 꿈같은 일이 벌어졌다 風文 2023.08.02 895
144 육체적인 회복 風文 2023.08.03 952
143 밀가루 반죽 風文 2023.08.03 708
142 희망이란 風文 2023.08.04 1419
141 빨래를 보면 다 보인다 風文 2023.08.04 900
140 24시간 스트레스 風文 2023.08.05 865
139 동사형 꿈 風文 2023.08.05 955
138 많은 것들과의 관계 風文 2023.08.07 920
137 세상을 더 넓게 경험하라 風文 2023.08.09 990
136 포트폴리오 커리어 시대 風文 2023.08.09 8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