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793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찬란한 슬픔의 봄 / 도종환




강진에 있는 김영랑 시인 생가 마당에 흐드러지게 피어 있던 자주색 모란꽃도 다 다 졌겠지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말았겠지요.
  김영랑시인의 그 가없는 기다림은 또 시작되었을까요?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마음속으로 울고 있을까요?
  삼백 예순 닷새 중에 꽃 피어 있는 날은 채 닷새 남짓한 꽃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그런데 왜 김영랑시인은 나머지 날들은 늘 섭섭해 하면서 살았을까요?
  
  김영랑시인에게 모란은 그냥 모란이 아니었을 겁니다. 남도의 봄은 삼월이면 오기 시작하고 사월이면 온갖 꽃이 다투어 피는데 오월이 가까워져도 아직도 봄이 오지 않았다고 생각하며 "나의 봄"을 기다린다고 말한 데는 다른 뜻이 있습니다. 내가 생각하고 기다리는 나만의 봄, 모란꽃으로 빗대어 상징적으로 말한 그런 특별한 봄, 그것 자체가 "뻗쳐오르던 내 보람"인 봄, 그런 봄이 나의 봄입니다. 그런 봄이 잠깐 내게 왔다가 가고 나머지 날들은 슬픔 속에서 보내지만 그 슬픔이 언젠가는 "찬란한 슬픔"으로 완성될 것임을 믿으며 어두운 역사의 시간을 견디며 기다렸던 것입니다.
  
  "찬란한 슬픔"이란 말은 모순된 말입니다. 슬픔이 어떻게 찬란할 수 있습니까? 그러나 이런 시적역설 속에 역설의 진리가 들어 있습니다. 우리가 슬픈 날들을 견디는 것도 언젠가는 이 슬픔의 날들 끝에 찬란한 시간이 오리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 아닙니까? 그러면 우리의 슬픔도 찬란한 슬픔이 되는 것이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130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543
160 오감 너머의 영감 風文 2023.06.28 835
159 아르테미스, 칼리스토, 니오베 風文 2023.06.28 747
158 순두부 風文 2023.07.03 806
157 배움은 늙지 않는다 風文 2023.07.04 922
156 60조 개의 몸 세포 風文 2023.07.22 807
155 스승 사(師) 風文 2023.07.22 992
154 꺾이지 않는 힘 風文 2023.07.26 958
153 리더에게 던지는 질문 風文 2023.07.26 1163
152 우주심(宇宙心)과 에고(Ego) 風文 2023.07.27 881
151 괜찮은 어른 風文 2023.07.27 1008
150 흥미진진한 이야기 風文 2023.07.29 875
149 자기 존엄 風文 2023.07.29 856
148 두려움의 마귀 風文 2023.07.30 858
147 청년들의 생존 경쟁 風文 2023.07.30 1110
146 소녀 같은 할머니, 소년 같은 할아버지 風文 2023.08.02 1087
145 꿈같은 일이 벌어졌다 風文 2023.08.02 891
144 육체적인 회복 風文 2023.08.03 949
143 밀가루 반죽 風文 2023.08.03 708
142 희망이란 風文 2023.08.04 1391
141 빨래를 보면 다 보인다 風文 2023.08.04 890
140 24시간 스트레스 風文 2023.08.05 858
139 동사형 꿈 風文 2023.08.05 954
138 많은 것들과의 관계 風文 2023.08.07 896
137 세상을 더 넓게 경험하라 風文 2023.08.09 985
136 포트폴리오 커리어 시대 風文 2023.08.09 8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