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79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찬란한 슬픔의 봄 / 도종환




강진에 있는 김영랑 시인 생가 마당에 흐드러지게 피어 있던 자주색 모란꽃도 다 다 졌겠지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말았겠지요.
  김영랑시인의 그 가없는 기다림은 또 시작되었을까요?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마음속으로 울고 있을까요?
  삼백 예순 닷새 중에 꽃 피어 있는 날은 채 닷새 남짓한 꽃들이 얼마나 많습니까? 그런데 왜 김영랑시인은 나머지 날들은 늘 섭섭해 하면서 살았을까요?
  
  김영랑시인에게 모란은 그냥 모란이 아니었을 겁니다. 남도의 봄은 삼월이면 오기 시작하고 사월이면 온갖 꽃이 다투어 피는데 오월이 가까워져도 아직도 봄이 오지 않았다고 생각하며 "나의 봄"을 기다린다고 말한 데는 다른 뜻이 있습니다. 내가 생각하고 기다리는 나만의 봄, 모란꽃으로 빗대어 상징적으로 말한 그런 특별한 봄, 그것 자체가 "뻗쳐오르던 내 보람"인 봄, 그런 봄이 나의 봄입니다. 그런 봄이 잠깐 내게 왔다가 가고 나머지 날들은 슬픔 속에서 보내지만 그 슬픔이 언젠가는 "찬란한 슬픔"으로 완성될 것임을 믿으며 어두운 역사의 시간을 견디며 기다렸던 것입니다.
  
  "찬란한 슬픔"이란 말은 모순된 말입니다. 슬픔이 어떻게 찬란할 수 있습니까? 그러나 이런 시적역설 속에 역설의 진리가 들어 있습니다. 우리가 슬픈 날들을 견디는 것도 언젠가는 이 슬픔의 날들 끝에 찬란한 시간이 오리라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 아닙니까? 그러면 우리의 슬픔도 찬란한 슬픔이 되는 것이지요?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6052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08May
    by 바람의종
    2008/05/08 by 바람의종
    Views 9069 

    개 코의 놀라운 기능

  4. No Image 08May
    by 바람의종
    2008/05/08 by 바람의종
    Views 7276 

    어머니 / 도종환

  5. No Image 09May
    by 바람의종
    2008/05/09 by 바람의종
    Views 8790 

    찬란한 슬픔의 봄 / 도종환

  6. No Image 13May
    by 바람의종
    2008/05/13 by 바람의종
    Views 5277 

    내가 행복한 이유

  7. No Image 14May
    by 윤영환
    2008/05/14 by 윤영환
    Views 6276 

    부처님 말씀 / 도종환

  8.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8/05/20 by 바람의종
    Views 7520 

    편안한 마음 / 도종환

  9. No Image 22May
    by 바람의종
    2008/05/22 by 바람의종
    Views 7140 

    나에게 맞는 옷을 찾아라

  10. 로마시대의 원더랜드, ‘하드리아누스의 빌라’

  11. No Image 22May
    by 바람의종
    2008/05/22 by 바람의종
    Views 6920 

    달을 먹다

  12. 지하철에서 노인을 만나면 무조건 양보하라

  13. No Image 23May
    by 바람의종
    2008/05/23 by 바람의종
    Views 10377 

    초록 꽃나무 / 도종환

  14. No Image 26May
    by 바람의종
    2008/05/26 by 바람의종
    Views 7342 

    오늘 다시 찾은 것은

  15. No Image 27May
    by 바람의종
    2008/05/27 by 바람의종
    Views 5353 

    매너가 경쟁력이다

  16. 느낌의 대상에서 이해의 대상으로?

  17. No Image 29May
    by 바람의종
    2008/05/29 by 바람의종
    Views 8887 

    가장 큰 재산 / 도종환

  18.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8/05/31 by 바람의종
    Views 7023 

    일상의 기회를 만들기 위해

  19.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08/05/31 by 바람의종
    Views 8490 

    폐허 이후 / 도종환

  20. No Image 02Jun
    by 바람의종
    2008/06/02 by 바람의종
    Views 8028 

    등 / 도종환

  21. No Image 07Jun
    by 바람의종
    2008/06/07 by 바람의종
    Views 6939 

    이로움과 의로움 / 도종환

  22. No Image 09Jun
    by 바람의종
    2008/06/09 by 바람의종
    Views 8104 

    촛불의 의미 / 도종환

  23.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08/06/11 by 바람의종
    Views 5768 

    매일 새로워지는 카피처럼

  24. 화려한 중세 미술의 철학적 기반

  25. No Image 13Jun
    by 바람의종
    2008/06/13 by 바람의종
    Views 7253 

    지금 아니면 안 되는 것

  26. No Image 19Jun
    by 바람의종
    2008/06/19 by 바람의종
    Views 7334 

    우산

  27. No Image 21Jun
    by 바람의종
    2008/06/21 by 바람의종
    Views 7303 

    목민관이 해야 할 일 / 도종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