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065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화에서 들려오는 한 친구의 말은 존재로서의 언어를 우리에게 전해준다. 마치 그 친구의 전체 존재가 나를 부르는 것처럼. 친구와 대화를 할 때, 언제 만나자는 정보만을 얻는 것이 아니라 나는 그 친구의 목소리를 통해 일종의 공동존재를 형성한다. 언어는 근본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이전에 인간을 가깝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언어는 내가 타인에게 던지는 하나의 제스처다. 나는 말로 타인과 접촉한다. 말하자면 언어는 내용 그 이전에 하나의 사건이며, 타인과 내가 함께 있다는 것, 바로 공동존재를 구축하는 길이다. 친구와 나 사이의 공동적인 존재의 형성은 말을 분석해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고등학교 영어 선생이었던 말라르메는 화요일마다 쉬었다. 당시는 사교가 모두 살롱에서 이루어지던 시대. 말라르메의 화요모임에는 그를 추종했던 발레리나 지드도 참석했다. 이러한 후배가 들어오면 말라르메가 얘기를 했다. 그러나 증언에 의하면 사람들은 말라르메에게 감동을 받긴 했지만 사람들은 나중에 말라르메가 무슨 말을 했는지 전혀 몰랐다고 한다. 말이 의미를 벗어나서 공동존재를 구성하는 작용에 집중된 것이다. 그게 바로 시다. 실제로 말라르메는 시가 그냥 울려 퍼지고 사라지는 음악이거나, 불꽃놀이거나, 발레리나의 움직임이기를 원했다. 또한 의미가 초과된 곳에서, 의미를 넘어선 곳에서, 이 세계의 규정화를 넘어선 곳에서 울려 퍼지고 사라지는 음악이 되기를 원했다. 말라르메에게 시의 이상적인 형태는 음악이었다.


친구와의 전화를 통한 접촉 속에서 의미를 초과하는 터치, 일종의 리듬, 어떠한 율동이 우리에게 쾌감을 준다. 이러한 제스처란 어떤 극단적인 상황, 말하자면 전화를 하는 등의 일상적인 상황이 아니라 어떤 문화의 세계에서 자연의 세계로 넘어가고 있는 자, 즉 의식의 죽음,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죽음 앞에 처한 자의 제스처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어떤 고통 앞에 노출된 자의 제스처가 바로 문학의 언어다. 문학의 이런 급진적이고 강렬한 제스처, 죽어가는 자의 손짓, 죽음에 다가간 자의 어떤 절규...이런 것이 없다면 문학은 아무 것도 아닌 것이 된다. 이 제스처는 음악이 되어야 하고, 춤이 되어야 하고 거기에 문학 언어의 정상, 최고의 성취가 있다. 진리라는 관점에서 보면 문학은 과학과 철학을 따라갈 수 없다. 문학이 추구하는 정념은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타인과의 소통을 위한 것이다. 텍스트 안에는 누군가의 현전이 있다. 문학의 언어는 결코 체화된 관념을 전달하는 진리의 언어, 지식의 언어가 아니다. 문학은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에로티즘의 제스처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849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6331
135 지하철에서 노인을 만나면 무조건 양보하라 바람의종 2008.05.22 7757
134 달을 먹다 바람의종 2008.05.22 6937
133 로마시대의 원더랜드, ‘하드리아누스의 빌라’ 바람의종 2008.05.22 13569
132 나에게 맞는 옷을 찾아라 바람의종 2008.05.22 7166
131 편안한 마음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0 7525
130 부처님 말씀 / 도종환 윤영환 2008.05.14 6294
129 내가 행복한 이유 바람의종 2008.05.13 5299
128 찬란한 슬픔의 봄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09 8806
127 어머니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08 7322
126 개 코의 놀라운 기능 바람의종 2008.05.08 9074
»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문학 바람의종 2008.05.06 9065
124 어린이라는 패러다임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05 6563
123 젖은 꽃잎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02 9707
122 만족과 불만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30 5517
121 하나의 가치 바람의종 2008.04.29 7076
120 시간은 반드시 직선으로 흐르지 않는다 바람의종 2008.04.29 7910
119 참는다는 것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28 8734
118 마음으로 소통하라 바람의종 2008.04.25 5863
117 입을 여는 나무들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25 7350
116 섬기고 공경할 사람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24 7083
115 교환의 비밀: 가난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바람의종 2008.04.22 6776
114 행복한 농사꾼을 바라보며 바람의종 2008.04.22 8834
113 용연향과 사람의 향기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21 9465
112 산벚나무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18 13257
111 아배 생각 - 안상학 바람의종 2008.04.17 67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