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029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전화에서 들려오는 한 친구의 말은 존재로서의 언어를 우리에게 전해준다. 마치 그 친구의 전체 존재가 나를 부르는 것처럼. 친구와 대화를 할 때, 언제 만나자는 정보만을 얻는 것이 아니라 나는 그 친구의 목소리를 통해 일종의 공동존재를 형성한다. 언어는 근본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이전에 인간을 가깝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언어는 내가 타인에게 던지는 하나의 제스처다. 나는 말로 타인과 접촉한다. 말하자면 언어는 내용 그 이전에 하나의 사건이며, 타인과 내가 함께 있다는 것, 바로 공동존재를 구축하는 길이다. 친구와 나 사이의 공동적인 존재의 형성은 말을 분석해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고등학교 영어 선생이었던 말라르메는 화요일마다 쉬었다. 당시는 사교가 모두 살롱에서 이루어지던 시대. 말라르메의 화요모임에는 그를 추종했던 발레리나 지드도 참석했다. 이러한 후배가 들어오면 말라르메가 얘기를 했다. 그러나 증언에 의하면 사람들은 말라르메에게 감동을 받긴 했지만 사람들은 나중에 말라르메가 무슨 말을 했는지 전혀 몰랐다고 한다. 말이 의미를 벗어나서 공동존재를 구성하는 작용에 집중된 것이다. 그게 바로 시다. 실제로 말라르메는 시가 그냥 울려 퍼지고 사라지는 음악이거나, 불꽃놀이거나, 발레리나의 움직임이기를 원했다. 또한 의미가 초과된 곳에서, 의미를 넘어선 곳에서, 이 세계의 규정화를 넘어선 곳에서 울려 퍼지고 사라지는 음악이 되기를 원했다. 말라르메에게 시의 이상적인 형태는 음악이었다.


친구와의 전화를 통한 접촉 속에서 의미를 초과하는 터치, 일종의 리듬, 어떠한 율동이 우리에게 쾌감을 준다. 이러한 제스처란 어떤 극단적인 상황, 말하자면 전화를 하는 등의 일상적인 상황이 아니라 어떤 문화의 세계에서 자연의 세계로 넘어가고 있는 자, 즉 의식의 죽음,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죽음 앞에 처한 자의 제스처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어떤 고통 앞에 노출된 자의 제스처가 바로 문학의 언어다. 문학의 이런 급진적이고 강렬한 제스처, 죽어가는 자의 손짓, 죽음에 다가간 자의 어떤 절규...이런 것이 없다면 문학은 아무 것도 아닌 것이 된다. 이 제스처는 음악이 되어야 하고, 춤이 되어야 하고 거기에 문학 언어의 정상, 최고의 성취가 있다. 진리라는 관점에서 보면 문학은 과학과 철학을 따라갈 수 없다. 문학이 추구하는 정념은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타인과의 소통을 위한 것이다. 텍스트 안에는 누군가의 현전이 있다. 문학의 언어는 결코 체화된 관념을 전달하는 진리의 언어, 지식의 언어가 아니다. 문학은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에로티즘의 제스처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48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4996
2760 어떤 이가 내게 정치소설가냐고 물었다 - 이외수 바람의종 2008.12.28 9157
2759 다다이스트가 되어 보자! 바람의종 2008.08.19 9156
2758 좋은 생각, 나쁜 생각 바람의종 2008.10.22 9145
2757 사랑해요 엄마 風文 2017.01.02 9141
2756 쉬어가라 바람의종 2012.05.18 9121
2755 하늘 같은 지도자보다 바다 같은 지도자 윤안젤로 2013.04.19 9111
2754 진흙 속의 진주처럼 바람의종 2008.12.23 9099
2753 엄마의 기도상자 바람의종 2013.02.14 9096
2752 그대에게 의미있는 일 바람의종 2012.12.17 9094
2751 우기 - 도종환 (48) 바람의종 2008.07.26 9086
2750 8.15와 '병든 서울' - 도종환 (57) 바람의종 2008.08.19 9052
2749 희망이란 바람의종 2009.07.31 9050
2748 개 코의 놀라운 기능 바람의종 2008.05.08 9036
»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문학 바람의종 2008.05.06 9029
2746 카프카의 이해: 먹기 질서와 의미 질서의 거부 바람의종 2008.08.19 9023
2745 간절하지 않으면 꿈꾸지 마라 윤안젤로 2013.03.13 9019
2744 위대한 당신의 위대한 판단 바람의종 2012.12.21 9009
2743 아는 만큼 보인다? 風文 2014.08.06 9004
2742 하늘의 눈으로 보면 바람의종 2012.05.22 9000
2741 자작나무 - 도종환 (127) 바람의종 2009.02.06 8995
2740 '느낌' 風文 2014.08.12 8990
2739 그들의 뒤를 따라가 보자 바람의종 2008.03.06 8987
2738 그대 생각날 때면 風文 2015.08.09 8975
2737 창밖의 눈 바람의종 2013.01.25 8967
2736 이장님댁 밥통 외등 바람의종 2008.07.04 89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