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796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현대 사회의 큰 특징 중의 하나는 주체의 출현이다.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주체는 당연히 철학자들에게도 커다란 관심 중의 하나였다. 일직선적 시간관에 따르면 과거를 원인으로 현재의 결과가 나타나고, 다시 현재를 원인으로 미래가 나타난다. 주체가 먼저 있고 주체의 작용으로 사건이 발생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라캉에 따르면 애초에 주체가 존재한 것이 아니다. 주체는 사후작용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여기 세 명의 죄수가 있다. 간수 한 명이 와서 세 개의 흰 원반과, 두 개의 검은 원반을 보여준다. 그리고는 죄수들의 등에 흰 원반을 각각 하나씩 붙였다. 죄수들은 자기 등에 붙은 원반을 볼 수는 없지만, 상대방의 등에 붙은 원반이 무슨 색인지 알 수 있다. 간수는 죄수들에게 자기 등에 붙은 원반이 무슨 색인지 가장 먼저 맞춘 사람을 내보내 주겠다고 한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세 죄수는 약간의 시간이 지난 후에, 자기 등 뒤에 흰 원반이 있다고 맞출 것이다. 어떻게?


당신이 죄수 A라 가정해보자. 그리고 ‘내가 만약 검은 원반을 등 뒤에 붙이고 있다면’ 이라고 가정한다. 우선 B의 입장이 되어 자신의 등 뒤에 검은 원반이 붙어 있다고 가정하면, 죄수 C는 즉시 달려 나갈 것이다. 그러나 그는 가만히 있다. 그렇다면 죄수 B의 등 뒤에는 흰 원반이 달려 있는 것이다. 다시 죄수 C의 입장에서 가정해보자. 나(죄수 A)의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고, 죄수 C의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다고 가정하면, 죄수 B는 즉시 달려 나갈 것이다. 그러나 그는 가만히 있다. 그러면 죄수 C의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다는 두 번째 가정은 잘못된 것이다. 죄수 C의 등 뒤에는 흰 원반이 있는 것이다. 결국 내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다는 가정에 따르면 두 죄수가 모두 스스로가 흰 원반임을 알고 달려 나가야 하는데, 나가지 않고 있다는 것은 바로 내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다는 가정이 잘못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내 등 뒤에는 흰 원반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간적인 흐름은 죄수 상호 간의 응시-이해-결론의 순서로 진행되지만, 논리적인 흐름은 결론이 이해에 확신을 주고, 이해는 다시 응시에 확신을 주는 순서로 진행된다. 즉 내가 검은 원반을 갖고 있다는 가정(이해)이, 결론에 의해서 확신을 받는 것이다. 이것이 라캉이 말하는 논리적인 시간이다. 이처럼 사건이 있을 때 주체는 가장 마지막에 나올 수밖에 없다. 주체가 있기 때문에 말이 있는 게 아니라, 말이 있기 때문에 주체가 있는 것이다. 즉, 당신이 나를 꽃이라 부르는 순간 나는 당신에게 꽃이 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112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3514
1835 신뢰는 신뢰를 낳는다 바람의종 2013.01.02 8067
1834 신념의 마력 바람의종 2012.08.14 6929
1833 시작이 반이다? 風文 2024.05.29 100
1832 시작과 끝 바람의종 2009.05.06 5125
1831 시인의 탄생 風文 2015.06.24 4615
1830 시인은 연인의 몸에서 우주를 본다 바람의종 2012.09.12 6508
1829 시어머니 병수발 風文 2015.01.12 5594
1828 시골 강아지 바람의종 2010.01.29 3953
1827 시간이라는 약 風文 2023.08.17 801
1826 시간이라는 선물 바람의종 2012.09.11 6302
» 시간은 반드시 직선으로 흐르지 않는다 바람의종 2008.04.29 7796
1824 시간병 바람의종 2010.07.23 3187
1823 시간 요리 바람의종 2009.12.10 4554
1822 시간 약속 바람의종 2009.08.06 6062
1821 시간 바람의종 2012.03.26 4939
1820 승리의 서사 風文 2014.12.02 5516
1819 습득하는 속도 風文 2023.02.28 694
1818 슬픔이 없는 곳 바람의종 2008.10.07 6526
1817 슬픔의 다음 단계 윤안젤로 2013.03.07 7716
1816 슬픔의 다음 단계 바람의종 2008.12.19 5465
1815 슬픔을 겪은 친구를 위하여 바람의종 2008.12.30 4758
1814 슬픔과 기쁨은 맞닿아 있다 바람의종 2010.06.01 2634
1813 슬픈 신부, 그러나 가장 행복한 순간 風文 2015.04.28 7292
1812 슬프면 노래하고 기뻐도 노래하고 風文 2023.11.15 872
1811 슬프고 힘든 일 바람의종 2011.04.12 27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