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89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현대 사회의 큰 특징 중의 하나는 주체의 출현이다.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주체는 당연히 철학자들에게도 커다란 관심 중의 하나였다. 일직선적 시간관에 따르면 과거를 원인으로 현재의 결과가 나타나고, 다시 현재를 원인으로 미래가 나타난다. 주체가 먼저 있고 주체의 작용으로 사건이 발생한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라캉에 따르면 애초에 주체가 존재한 것이 아니다. 주체는 사후작용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한다.




여기 세 명의 죄수가 있다. 간수 한 명이 와서 세 개의 흰 원반과, 두 개의 검은 원반을 보여준다. 그리고는 죄수들의 등에 흰 원반을 각각 하나씩 붙였다. 죄수들은 자기 등에 붙은 원반을 볼 수는 없지만, 상대방의 등에 붙은 원반이 무슨 색인지 알 수 있다. 간수는 죄수들에게 자기 등에 붙은 원반이 무슨 색인지 가장 먼저 맞춘 사람을 내보내 주겠다고 한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세 죄수는 약간의 시간이 지난 후에, 자기 등 뒤에 흰 원반이 있다고 맞출 것이다. 어떻게?


당신이 죄수 A라 가정해보자. 그리고 ‘내가 만약 검은 원반을 등 뒤에 붙이고 있다면’ 이라고 가정한다. 우선 B의 입장이 되어 자신의 등 뒤에 검은 원반이 붙어 있다고 가정하면, 죄수 C는 즉시 달려 나갈 것이다. 그러나 그는 가만히 있다. 그렇다면 죄수 B의 등 뒤에는 흰 원반이 달려 있는 것이다. 다시 죄수 C의 입장에서 가정해보자. 나(죄수 A)의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고, 죄수 C의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다고 가정하면, 죄수 B는 즉시 달려 나갈 것이다. 그러나 그는 가만히 있다. 그러면 죄수 C의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다는 두 번째 가정은 잘못된 것이다. 죄수 C의 등 뒤에는 흰 원반이 있는 것이다. 결국 내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다는 가정에 따르면 두 죄수가 모두 스스로가 흰 원반임을 알고 달려 나가야 하는데, 나가지 않고 있다는 것은 바로 내 등 뒤에 검은 원반이 있다는 가정이 잘못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고, 내 등 뒤에는 흰 원반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간적인 흐름은 죄수 상호 간의 응시-이해-결론의 순서로 진행되지만, 논리적인 흐름은 결론이 이해에 확신을 주고, 이해는 다시 응시에 확신을 주는 순서로 진행된다. 즉 내가 검은 원반을 갖고 있다는 가정(이해)이, 결론에 의해서 확신을 받는 것이다. 이것이 라캉이 말하는 논리적인 시간이다. 이처럼 사건이 있을 때 주체는 가장 마지막에 나올 수밖에 없다. 주체가 있기 때문에 말이 있는 게 아니라, 말이 있기 때문에 주체가 있는 것이다. 즉, 당신이 나를 꽃이라 부르는 순간 나는 당신에게 꽃이 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516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934
160 한 사람, 하나의 사건부터 시작된다 風文 2019.06.04 1174
159 한 사람의 작은 역사책 風文 2014.10.06 12521
158 한 사람이 빛을 발하면... 바람의종 2011.09.29 6311
157 한 송이 사람 꽃 風文 2023.11.22 896
156 한 수 아래 風文 2023.06.27 756
155 한 시간 명상이 10 시간의 잠과 같다 바람의종 2013.01.23 6556
154 한 통의 전화가 가져다 준 행복 - 킴벨리 웨일 風文 2022.08.20 999
153 한 해의 마지막 달 - 도종환 (105) 바람의종 2008.12.10 5682
152 한계 바람의종 2010.06.19 3480
151 한계점 윤안젤로 2013.04.03 9313
150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風文 2022.01.30 817
149 한마음, 한느낌 風文 2023.01.21 981
148 한숨의 크기 윤안젤로 2013.05.20 11215
147 한쪽 가슴으로 사랑하기 바람의종 2010.08.20 5242
146 할 일의 발견 風文 2014.12.03 7602
145 할매의 봄날 風文 2015.04.27 8123
144 할머니의 사랑 바람의종 2009.04.25 6547
143 함구 바람의종 2011.08.05 5836
142 함께 꿈꾸는 세상 바람의종 2011.03.19 4019
141 함께 본다는 것 바람의종 2012.11.14 7351
140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08.06 10327
139 함께 산다는 것 風文 2014.12.24 8837
138 함께 책읽는 즐거움 風文 2017.11.29 2998
137 함부로 땅을 뒤엎지 말라 바람의종 2009.11.03 5447
136 함부로 땅을 뒤엎지 말라 바람의종 2011.07.30 50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