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703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본주의 이전에는 생산하는 사람이 곧 소비하는 사람이었다. 우리 경제생활의 최종 목적은 소비다. 물건을 많이 생산하겠다는 것만을 목표로 사는 사람은 없다. 잘 먹고 잘 사는 것, 곧 소비가 경제생활의 진정한 목적이다. 그런데 이 최종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바로 생산이다. 소비하려면 생산된 물건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오래 전, 사람들은 자기가 생산해야 할 것이 있으면 자기가 직접 생산했다. 이때에는 자신의 경제생활이 곧 얼마나 생산하느냐에 직결되었기 때문에 생산관계는 매우 투명했다. 그 시절, 가난과 부에는 아무런 비밀도 존재하지 않았다.


생산과 소비가 분리되면서 사람들에겐 교환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제 자기가 먹고 사는 문제는 자신만의 것이 아니었다. 자신이 해결할 수 없는 저 너머, 교환이라는 베일 뒤에 숨어있는 경제의 문제가 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자급자족 체계가 붕괴하면서 가난이 생겨났다. 11세기에서 14세기까지 유럽에서 끊임없이 이어진 전쟁, 그리고 14세기를 전후해 페스트가 돌면서 유럽 인구의 3분의 1이 죽었다. 사람들이 페스트에 대처하는 방법은 오직 마을을 모두 태우는 것뿐이었고, 유럽의 자급자족 체제는 완전히 붕괴되고 말았다. 생산이 불가능하게 된 이 시점에서 사람들은 해답을 준 것은 마르코 폴로였다.


마르코 폴로는 사람들에게 동방이라는 나라에 어마어마한 재화와 부가 있다는 이야기를 전했다. 유럽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하고 동양이 세계에서 가장 잘 살던 그 시기에, 마르코 폴로는 동방과 교역을 하면 먹고 살 수 있는 길이 생길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동방으로 가는 길에는 협상이 불가능한 오스만 투르크가 버티고 있었다. 유럽 사회는 동방으로 가는 길이 막히자 지중해를 통한 교역을 포기하고 대서양으로 나가게 된다. 지중해 해상권인 베네치아와 이탈리아 반도는 이제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등에게 경제의 주도권을 내주고 만다. 그리고 농업을 넘어서는 상업의 발전이 이루어진다. 교환이 모든 것을 주도하게 된 것이다. 이제 부는 현물에서 교환을 거쳐야만 손에 넣을 수 있는 상품이 되었고, 사람들은 교환이라는 베일 뒤에 숨어 신비화된 부를 욕망하게 되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394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745
2935 소망적 사고 윤영환 2013.06.05 11407
2934 치유의 문 風文 2014.10.18 11388
2933 고통은 과감히 맞서서 해결하라 - 헤르만 헷세 風磬 2006.11.02 11379
2932 엄창석,<색칠하는 여자> 바람의종 2008.02.28 11345
2931 風文 2014.10.20 11328
2930 불을 켜면 사라지는 꿈과 이상, 김수영 「구슬픈 肉體」 바람의종 2007.03.09 11318
2929 하루 한 번쯤 바람의종 2012.10.29 11311
2928 힘과 용기가 필요하다면 바람의종 2008.07.31 11296
2927 중국 현대문학의 아버지 루쉰, 사실은 의사 지망생이었다? 바람의종 2007.02.28 11256
2926 모퉁이 風文 2013.07.09 11253
2925 김인숙 <거울에 관한 이야기> 바람의종 2008.02.29 11190
2924 아흔여섯살 어머니가... 윤안젤로 2013.06.05 11173
2923 한숨의 크기 윤안젤로 2013.05.20 11137
2922 여섯 개의 버찌씨 바람의종 2009.05.04 11117
2921 "'거룩한' 바보가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바람의종 2009.03.31 11104
2920 권력의 꽃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7.21 11067
2919 친애란 무엇일까요? 바람의종 2007.10.24 11058
2918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바람의종 2009.05.28 11014
2917 초점거리 윤안젤로 2013.03.27 11014
2916 그냥 서 있는 것도 힘들 때 風文 2014.11.12 10971
2915 '할 수 있다' 윤안젤로 2013.06.15 10959
2914 밤새 부르는 사랑 노래 윤안젤로 2013.05.27 10924
2913 감춤과 은둔 風文 2015.08.20 10915
2912 저녁의 황사 - 도종환 (134) 바람의종 2009.03.01 10868
2911 '갓길' 風文 2014.09.25 108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