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6737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자본주의 이전에는 생산하는 사람이 곧 소비하는 사람이었다. 우리 경제생활의 최종 목적은 소비다. 물건을 많이 생산하겠다는 것만을 목표로 사는 사람은 없다. 잘 먹고 잘 사는 것, 곧 소비가 경제생활의 진정한 목적이다. 그런데 이 최종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바로 생산이다. 소비하려면 생산된 물건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오래 전, 사람들은 자기가 생산해야 할 것이 있으면 자기가 직접 생산했다. 이때에는 자신의 경제생활이 곧 얼마나 생산하느냐에 직결되었기 때문에 생산관계는 매우 투명했다. 그 시절, 가난과 부에는 아무런 비밀도 존재하지 않았다.


생산과 소비가 분리되면서 사람들에겐 교환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제 자기가 먹고 사는 문제는 자신만의 것이 아니었다. 자신이 해결할 수 없는 저 너머, 교환이라는 베일 뒤에 숨어있는 경제의 문제가 된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자급자족 체계가 붕괴하면서 가난이 생겨났다. 11세기에서 14세기까지 유럽에서 끊임없이 이어진 전쟁, 그리고 14세기를 전후해 페스트가 돌면서 유럽 인구의 3분의 1이 죽었다. 사람들이 페스트에 대처하는 방법은 오직 마을을 모두 태우는 것뿐이었고, 유럽의 자급자족 체제는 완전히 붕괴되고 말았다. 생산이 불가능하게 된 이 시점에서 사람들은 해답을 준 것은 마르코 폴로였다.


마르코 폴로는 사람들에게 동방이라는 나라에 어마어마한 재화와 부가 있다는 이야기를 전했다. 유럽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하고 동양이 세계에서 가장 잘 살던 그 시기에, 마르코 폴로는 동방과 교역을 하면 먹고 살 수 있는 길이 생길 것이라고 여겼다. 그러나 동방으로 가는 길에는 협상이 불가능한 오스만 투르크가 버티고 있었다. 유럽 사회는 동방으로 가는 길이 막히자 지중해를 통한 교역을 포기하고 대서양으로 나가게 된다. 지중해 해상권인 베네치아와 이탈리아 반도는 이제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등에게 경제의 주도권을 내주고 만다. 그리고 농업을 넘어서는 상업의 발전이 이루어진다. 교환이 모든 것을 주도하게 된 것이다. 이제 부는 현물에서 교환을 거쳐야만 손에 넣을 수 있는 상품이 되었고, 사람들은 교환이라는 베일 뒤에 숨어 신비화된 부를 욕망하게 되었다.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5804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5252
    read more
  3. 현대예술의 엔트로피

    Date2008.04.09 By바람의종 Views18976
    Read More
  4. 화개 벚꽃 / 도종환

    Date2008.04.09 By바람의종 Views8593
    Read More
  5. 4월 이야기

    Date2008.04.10 By바람의종 Views10080
    Read More
  6. 냉이꽃 한 송이도 제 속에서 거듭 납니다

    Date2008.04.11 By바람의종 Views6859
    Read More
  7. 불가능에 도전하는 용기학교

    Date2008.04.11 By바람의종 Views6205
    Read More
  8. 소를 보았다

    Date2008.04.11 By바람의종 Views9621
    Read More
  9. 네비게이션에 없는 길 / 도종환

    Date2008.04.14 By바람의종 Views7123
    Read More
  10. 행복한 미래로 가는 오래된 네 가지 철학

    Date2008.04.16 By바람의종 Views8403
    Read More
  11. 행운에 짓밟히는 행복

    Date2008.04.16 By바람의종 Views8529
    Read More
  12. 자족에 이르는 길 / 도종환

    Date2008.04.16 By바람의종 Views6905
    Read More
  13. 아배 생각 - 안상학

    Date2008.04.17 By바람의종 Views6709
    Read More
  14. 산벚나무 / 도종환

    Date2008.04.18 By바람의종 Views13219
    Read More
  15. 용연향과 사람의 향기 / 도종환

    Date2008.04.21 By바람의종 Views9445
    Read More
  16. 행복한 농사꾼을 바라보며

    Date2008.04.22 By바람의종 Views8825
    Read More
  17. 교환의 비밀: 가난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Date2008.04.22 By바람의종 Views6737
    Read More
  18. 섬기고 공경할 사람 / 도종환

    Date2008.04.24 By바람의종 Views7068
    Read More
  19. 입을 여는 나무들 / 도종환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7322
    Read More
  20. 마음으로 소통하라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5833
    Read More
  21. 참는다는 것 / 도종환

    Date2008.04.28 By바람의종 Views8702
    Read More
  22. 시간은 반드시 직선으로 흐르지 않는다

    Date2008.04.29 By바람의종 Views7885
    Read More
  23. 하나의 가치

    Date2008.04.29 By바람의종 Views7063
    Read More
  24. 만족과 불만 / 도종환

    Date2008.04.30 By바람의종 Views5488
    Read More
  25. 젖은 꽃잎 / 도종환

    Date2008.05.02 By바람의종 Views9695
    Read More
  26. 어린이라는 패러다임 / 도종환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6553
    Read More
  27.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문학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904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