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710 추천 수 2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행복한 농사꾼을 바라보며








 한국벤처농업대학에서 농민과 함께 뒹굴며 살아온 지도 어느덧 8년째다. 그 안에 내가 존경하는 ‘행복한 농사꾼’이 있다. 섬진강 자락이 내다보이는 3,000여 개의 장독대가 장관을 이루는 청매실농원의 ‘매실 아지매’가 바로 그분이다. 농촌관광의 원조인 그녀는 “앞으로는 사람들을 자꾸 농장으로 불러들여야 한데이”, “내 보래이 사계절에 볼 수 있는 꽃을 다 심어 놓았다 아이가”, “한번 와서 보래이, 기가 막히다~”하면서 1월에서 12월에 피는 꽃 이름을 술술 말씀하신다.

 그분은 이른 새벽 발목을 적시는 이슬에서 자기만의 ‘보석’을 발견하며 살아간다. 자연의 아름다움에 취해 산밭을 일구는 매듭 굵은 손을 가진 그분이야말로 진정 ‘아름다운 농사꾼’임에 틀림없다. 또한 ‘밥상이 약상’임을 입에 침이 마르도록 강조하는 걸 보면 매실을 파는 일보다 건강을 파는 일에 열심인 농사꾼이다. 그런 점이 소비자로 하여금 신뢰를 갖도록 한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큰 욕심을 가진 농부라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인심이 후해 자꾸 퍼 주기만 하시는 그분이 바라는 건 단지 자신을 ‘행복한 농사꾼’이라고 불러 주는 것이다. 몸은 늙었지만 할 일이 많아 보이는 그분은 아직도 꿈을 꾸며 살아간다.

 “섬진강을 굽어보는 매실 밭에 핀 꽃은 내 딸이요, 열매는 내 아들이니 천국이 바로 여기지요. 여든 살이 되어도 아흔 살이 되어도, 내가 만든 농산물이 작품으로 인정받는 정말 ‘행복한 농사꾼’이 되는 게 꿈이에요.”

 나이를 먹으면 꿈이 사라지는 줄 알았다. 하지만 ‘꿈은 움직이는 생명체다.’라는 말을 실감할 정도로 이분의 꿈은 하나씩 이루어지고 있다.

 “꿈이 있는 자는 목표가 있고, 목표가 있는 자는 계획이 있다. 계획이 있는 자는 실천을 하며, 실천을 하는 자는 실적이 있다. 또 실적이 있으면 반성을 하게 된다. 그리고 반성을 하게 되면 새로운 꿈을 꾸게 된다.”

 이분이 항상 철칙처럼 여기는 말이다. 이분과 같이 모든 사람들이 저마다 멋진 꿈을 꾸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누구보다 부지런히 노력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멋진 경쟁력이 아닐까. 심호흡 한 번 크게 쉬며 “자! 바로 여기에서부터 시작이다.”라고 말해 보자. 그리고 그분처럼 새로운 꿈을 꾸어 보자.


권영미 님 | 한국벤처농업대학 사무국장 에이넷 대표
-《행복한동행》2008년 4월호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185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553
135 6세에서 9세, 66세에서 99세까지 風文 2013.07.09 10615
134 걱정하고 계시나요? 윤안젤로 2013.06.05 10633
133 사랑을 잃으면... 風文 2015.08.20 10643
132 비움과 채움, 채움과 비움 風文 2014.08.18 10644
131 기꺼이 '깨지는 알' 윤안젤로 2013.03.20 10682
130 안병무 '너는 가능성이다' 中 바람의종 2008.02.17 10713
129 사치 風文 2013.07.07 10733
128 내 마음 닿는 그곳에 윤안젤로 2013.06.03 10761
127 깜빡 잊은 답신 전화 윤영환 2013.06.28 10774
126 한 번도 패배한 적이 없는 사람들 風文 2014.11.12 10781
125 '갓길' 風文 2014.09.25 10788
124 저녁의 황사 - 도종환 (134) 바람의종 2009.03.01 10852
123 감춤과 은둔 風文 2015.08.20 10899
122 밤새 부르는 사랑 노래 윤안젤로 2013.05.27 10917
121 그냥 서 있는 것도 힘들 때 風文 2014.11.12 10931
120 '할 수 있다' 윤안젤로 2013.06.15 10950
119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바람의종 2009.05.28 11011
118 초점거리 윤안젤로 2013.03.27 11014
117 권력의 꽃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7.21 11040
116 친애란 무엇일까요? 바람의종 2007.10.24 11052
115 "'거룩한' 바보가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바람의종 2009.03.31 11101
114 여섯 개의 버찌씨 바람의종 2009.05.04 11106
113 한숨의 크기 윤안젤로 2013.05.20 11136
112 아흔여섯살 어머니가... 윤안젤로 2013.06.05 11168
111 김인숙 <거울에 관한 이야기> 바람의종 2008.02.29 111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