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305 추천 수 2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 당신은 어떤 삶을 살고 계시나요?
사람들은 보통 자신에 초점을 두고 행복을 추구합니다. 또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윤리적인 행동을 함으로써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둘의 사고를 종합하는 입장도 있습니다. 나도 남도 이롭게 하는 것이 행복에 이르는 길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그렇습니다. 전자는 윤리적 이기주의라고 말할 수 있고, 후자는 공리주의와 의무론적인 입장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 양자를 수용하면서 내가 남에게 베풀고 잘 하는 것이 결국은 나에게 이익이 된다고 하는 입장이 있습니다. 중국의 묵자가 대표적입니다. 묵자는 남을 사랑하는 이유를 결국은 내가 잘 되기 위한 전략이라고 말합니다. 그런가하면 내가 남에게 행위하는 것에 어떤 원칙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리스의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행복한 삶이란 자신이나 타인 모두가 똑같이 어떤 윤리적 원칙에 입각해서 성실하게 삶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사람들은 적절하게 훈련을 받으면 선을 발견할 수 있고, 이를 실천함으로써 보다 행복해질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소크라테스 스스로도 이러한 원칙에 따르는 삶을 죽을 때까지 실천하려고 노력했다는 점에서 원칙주의자로서 행복관을 실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절대적인 선과 그에 따르는 원칙을 강조한 소크라테스에 반해 노자는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여 어떠한 일도 꾸미지 말고 있는 그대로의 삶을 살 것을 강조합니다. 노자에게 있어 이러한 자연스러운 삶의 상징은 강한 것이 아니라 약한 것에 있습니다. 노자에 따르면 강한 것은 부러지기 쉽고 따라서 강한 것은 금방 죽어 없어집니다. 굳이 따지자면 노자는 강한 것을 상징하는 남성의 원리보다는 약한 것을 상징하는 여성원리에 입각한 삶과 정치가 오래갈 수 있으며, 이것이 행복한 삶이라고 보았습니다. 자연스러운 삶으로서 조화와 균형을 중요시한 노자는 행복한 삶의 근거지로 소규모 농촌에서의 삶을 제안하기도 했습니다.


혼란스러운 세상에 대한 반응은 노자와 같이 무위자연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절대자와의 연관 속에서 자기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통해 행복을 가꾸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기독교가 형성될 당시의 초기 기독교인은 언제 세상에 종말이 올지 모르는 긴박감 속에서 살았습니다. 이러한 종말의식이 신약성서의 배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 주님의 날이 밤에 도둑처럼 온다는 것을 여러분은 자세히 알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평안하다. 평안하다’하고 말할 그 때에, 아기를 밴 여인에게 해산의 진통이 오는 것과 같이, 갑자기 멸망이 그들에게 닥칠 것이니, 그것을 피하지 못할 것입니다. ... 모든 일에 감사하십시오.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여러분에게 바라시는 하나님의 뜻입니다.” (데살로니가전서 5:1-6, 16-18)

위 내용은 바울이 데살로니가에 있는 교인들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이 편지의 결론을 보면, 주의 날이 임박했으니 깨어 정신 차리고 있으라는 교훈과 그 날이 오기 전에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기독교인에게서 하나님의 뜻에 따르는 삶은 ‘의미’를 가집니다. 하나님과 연결되어 있다고 믿음으로서 현재 자신의 삶이 의미를 가지며, 그러한 의미가 있기에 현재의 고통에도 불구하고 감수하고 살아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의미와의 연관 속에서 보면 고통이 없는 것이 행복이라고 말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고통이 있기에 행복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당신의 행복에 관한 철학은 누구에 가깝습니까? 오늘,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적용되고, 의미를 갖는 행복철학의 원리들을 참고하여 나의 삶을 보다 행복하게 가꿔보는 것은 어떨까요?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3034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2388
    read more
  3. 지하철에서 노인을 만나면 무조건 양보하라

    Date2008.05.22 By바람의종 Views7660
    Read More
  4. 달을 먹다

    Date2008.05.22 By바람의종 Views6794
    Read More
  5. 로마시대의 원더랜드, ‘하드리아누스의 빌라’

    Date2008.05.22 By바람의종 Views13411
    Read More
  6. 나에게 맞는 옷을 찾아라

    Date2008.05.22 By바람의종 Views7050
    Read More
  7. 편안한 마음 / 도종환

    Date2008.05.20 By바람의종 Views7458
    Read More
  8. 부처님 말씀 / 도종환

    Date2008.05.14 By윤영환 Views6170
    Read More
  9. 내가 행복한 이유

    Date2008.05.13 By바람의종 Views5189
    Read More
  10. 찬란한 슬픔의 봄 / 도종환

    Date2008.05.09 By바람의종 Views8598
    Read More
  11. 어머니 / 도종환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7205
    Read More
  12. 개 코의 놀라운 기능

    Date2008.05.08 By바람의종 Views8897
    Read More
  13.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문학

    Date2008.05.06 By바람의종 Views8947
    Read More
  14. 어린이라는 패러다임 / 도종환

    Date2008.05.05 By바람의종 Views6466
    Read More
  15. 젖은 꽃잎 / 도종환

    Date2008.05.02 By바람의종 Views9633
    Read More
  16. 만족과 불만 / 도종환

    Date2008.04.30 By바람의종 Views5408
    Read More
  17. 하나의 가치

    Date2008.04.29 By바람의종 Views6966
    Read More
  18. 시간은 반드시 직선으로 흐르지 않는다

    Date2008.04.29 By바람의종 Views7751
    Read More
  19. 참는다는 것 / 도종환

    Date2008.04.28 By바람의종 Views8641
    Read More
  20. 마음으로 소통하라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5788
    Read More
  21. 입을 여는 나무들 / 도종환

    Date2008.04.25 By바람의종 Views7269
    Read More
  22. 섬기고 공경할 사람 / 도종환

    Date2008.04.24 By바람의종 Views7016
    Read More
  23. 교환의 비밀: 가난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Date2008.04.22 By바람의종 Views6683
    Read More
  24. 행복한 농사꾼을 바라보며

    Date2008.04.22 By바람의종 Views8703
    Read More
  25. 용연향과 사람의 향기 / 도종환

    Date2008.04.21 By바람의종 Views9384
    Read More
  26. 산벚나무 / 도종환

    Date2008.04.18 By바람의종 Views13069
    Read More
  27. 아배 생각 - 안상학

    Date2008.04.17 By바람의종 Views663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