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907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에리히 프롬은 7~80년대의 미국 사회를 목도하면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태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기술의 발전으로 더 풍요롭게 살게 된 사람들이 왜 그 여유를 누리지 않고 알콜 중독이나 마약 중독에 빠지는지, 왜 자기에게 주어진 자유에서 도피해 파괴적으로 변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자유로부터의 도피라는 책에 담았다. 에리히 프롬은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인간이 살아가는 방식을 둘로 나눈다. 하나는 소유하는 삶이고, 다른 하나는 존재하는 삶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은 어떤 물건을 자기의 것으로 하고자 꿈꾼다. 어떤 물건을 끊임없이 소비하고 자신의 것으로 하는 과정에서 기쁨과 행복을 느끼고, 남들이 가진 물건을 자신이 갖지 못하면 불행하다고 생각한다. 유행에 의해 계속 욕구를 만들어내고 그것이 충족되지 않으면 스스로 불행하다고 느끼는 소유 지배 형태에 입각한 삶의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것, 그것이 에리히 프롬의 문제의식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삶은 끊임없이 해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하나를 가지면 또 하나를 갖고 싶고, 더 좋은 것이 나오면 광고를 통해 다시 또 새로운 욕구를 생성해내는 악순환 속에서 결국은 만족할 수 없는 상태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에리히 프롬은 이러한 문화를 서구문명이 오래 전부터 세상을 소유양식에 입각해 바라보기 때문이라고 풀이한다. 동양의 시인인 바쇼가 “울타리 곁에 냉이 꽃이 피어있는 것이 보이누나!”라고 있는 그대로의 꽃을 관조하는 것과 달리, 서양 시인인 테니슨이 “꽃을 뿌리 채로 손 안에 들고 있다”라며 읊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서구문명은 대상을 소유함으로써 이해하려하는 접근을 고수해왔다는 것이다.


끊임없이 더 좋은 미래, 더 많이 가질 것에 대한 기대 때문에 지금 여기를 살지 못하고 과거와 미래에 집착하는 소유의 삶은, 사람이 실제로 자신이 지배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인 현재를 놓치고 만다. 그러나 존재적 실존양식은 인스턴트화된 소모적 일회성의 쾌락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를 통해 자기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오는 존재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 무엇을 소유함으로써가 아니라 내가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를 생각할 때, 존재적인 삶은 현재를 살며 삶 자체를 긍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인간은 충족되지 않는 욕망에서 오는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진정 자유로워질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130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4583
110 자족에 이르는 길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16 6895
109 행운에 짓밟히는 행복 바람의종 2008.04.16 8486
108 행복한 미래로 가는 오래된 네 가지 철학 바람의종 2008.04.16 8359
107 네비게이션에 없는 길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14 7119
106 소를 보았다 바람의종 2008.04.11 9611
105 불가능에 도전하는 용기학교 바람의종 2008.04.11 6185
104 냉이꽃 한 송이도 제 속에서 거듭 납니다 바람의종 2008.04.11 6856
103 4월 이야기 바람의종 2008.04.10 10054
102 화개 벚꽃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09 8584
101 현대예술의 엔트로피 바람의종 2008.04.09 18879
100 다리가 없는 새가 살았다고 한다. 바람의종 2008.04.05 8907
» 자본주의 사회에서 더 행복해지는 법 바람의종 2008.04.02 8907
98 사랑이 잔혹한 이유는 에로스 신 부모 탓? 바람의종 2008.03.27 26490
97 Gustav Klimt and the adagietto of the Mahler 5th symphony 바람의종 2008.03.27 14068
96 오늘을 위한 아침 5분의 명상 바람의종 2008.03.20 8700
95 아버지는 누구인가? 바람의종 2008.03.19 7477
94 비닐 우산 바람의종 2008.03.19 5446
93 이거 있으세요? 바람의종 2008.03.19 8365
92 소금과 호수 바람의종 2008.03.18 7716
91 노인과 여인 바람의종 2008.03.16 6650
90 현실과 이상의 충돌 바람의종 2008.03.16 9802
89 문학대중화란 - 안도현 바람의종 2008.03.15 6753
88 고백할게 바람의종 2008.03.14 8904
87 세상을 사는 두 가지의 삶 바람의종 2008.03.14 7726
86 대학생의 독서 바람의종 2008.03.13 71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