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809 추천 수 3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에리히 프롬은 7~80년대의 미국 사회를 목도하면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태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기술의 발전으로 더 풍요롭게 살게 된 사람들이 왜 그 여유를 누리지 않고 알콜 중독이나 마약 중독에 빠지는지, 왜 자기에게 주어진 자유에서 도피해 파괴적으로 변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자유로부터의 도피라는 책에 담았다. 에리히 프롬은 자유로부터의 도피에서, 인간이 살아가는 방식을 둘로 나눈다. 하나는 소유하는 삶이고, 다른 하나는 존재하는 삶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은 어떤 물건을 자기의 것으로 하고자 꿈꾼다. 어떤 물건을 끊임없이 소비하고 자신의 것으로 하는 과정에서 기쁨과 행복을 느끼고, 남들이 가진 물건을 자신이 갖지 못하면 불행하다고 생각한다. 유행에 의해 계속 욕구를 만들어내고 그것이 충족되지 않으면 스스로 불행하다고 느끼는 소유 지배 형태에 입각한 삶의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것, 그것이 에리히 프롬의 문제의식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삶은 끊임없이 해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하나를 가지면 또 하나를 갖고 싶고, 더 좋은 것이 나오면 광고를 통해 다시 또 새로운 욕구를 생성해내는 악순환 속에서 결국은 만족할 수 없는 상태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에리히 프롬은 이러한 문화를 서구문명이 오래 전부터 세상을 소유양식에 입각해 바라보기 때문이라고 풀이한다. 동양의 시인인 바쇼가 “울타리 곁에 냉이 꽃이 피어있는 것이 보이누나!”라고 있는 그대로의 꽃을 관조하는 것과 달리, 서양 시인인 테니슨이 “꽃을 뿌리 채로 손 안에 들고 있다”라며 읊은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서구문명은 대상을 소유함으로써 이해하려하는 접근을 고수해왔다는 것이다.


끊임없이 더 좋은 미래, 더 많이 가질 것에 대한 기대 때문에 지금 여기를 살지 못하고 과거와 미래에 집착하는 소유의 삶은, 사람이 실제로 자신이 지배할 수 있는 유일한 시간인 현재를 놓치고 만다. 그러나 존재적 실존양식은 인스턴트화된 소모적 일회성의 쾌락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를 통해 자기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오는 존재의 기쁨을 누릴 수 있다. 무엇을 소유함으로써가 아니라 내가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를 생각할 때, 존재적인 삶은 현재를 살며 삶 자체를 긍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럼으로써 인간은 충족되지 않는 욕망에서 오는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진정 자유로워질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48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821
2385 깊은 가을 - 도종환 (96) 바람의종 2008.11.20 7141
2384 깊은 성찰 바람의종 2010.01.22 4905
2383 깊이 바라보기 바람의종 2008.10.24 6177
2382 깊이 바라보기 바람의종 2010.07.08 3313
2381 깜빡 잊은 답신 전화 윤영환 2013.06.28 10774
2380 깜빡 졸다가... 바람의종 2011.07.16 3655
2379 깨기 위한 금기, 긍정을 위한 부정 바람의종 2008.02.15 8733
2378 깨달음 바람의종 2012.02.01 5145
2377 깨달음 바람의종 2012.08.23 4591
2376 깨달음 風文 2023.02.09 528
2375 깨어 있는 마음으로 걷기 바람의종 2010.03.09 4586
2374 꺾이지 않는 힘 風文 2023.07.26 864
2373 껍질 바람의종 2009.01.24 4703
2372 꼭 새겨야 할 인생의 필수 덕목 風文 2019.08.29 743
2371 꼭 필요한 세 가지 용기 風文 2021.09.13 587
2370 꼴찌의 손 바람의종 2009.09.24 4888
2369 꼼꼼하게 요청하라 風文 2022.09.23 1042
2368 꽃나무를 생각한다 바람의종 2012.04.11 4945
2367 꽃병이 깨졌을 때 바람의종 2009.09.26 4483
2366 꽃소식 - 도종환 (145) 바람의종 2009.03.23 6208
2365 꽃에 물을 주는 사람 風文 2019.09.02 855
2364 꽃은 소리 없이 핍니다 - 도종환 (143) 바람의종 2009.03.16 6217
2363 꽃은 피고 지고, 또 피고 지고... 윤안젤로 2013.06.03 9721
2362 꽃이 별을 닮은 이유 風文 2023.11.13 627
2361 꽃이 피어난다! 바람의종 2010.03.24 42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