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6482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람들은 사랑의 기쁨을 구름 위를 걷는 기분에 비유하기도 한다. 정말로 구름 위를 걸어본 사람은 없을테지만 사랑은 그만큼 사람을 행복하게 해준다는 말이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과연 사랑을 할 때 우리는 시종일관 달콤하기만 했던가. 사랑을 주관하는 신 에로스. 그의 탄생신화에서 사랑의 본질을 찾아보자.


플라톤의『향연』에서 소크라테스의 스승으로 추론되는 여사제 디오티마(Diotima)가 들려주는 사랑 이야기에 귀기울여보자.
아름다움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생일 날, 많은 신들이 그녀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올림포스 신궁으로 모여들었다. 당연히 첫번째 타자는 풍요의 신 포로스(Poros). 그는 신들이 먹는 음식인 암브로시아(ambrosia)와 넥타르(nektar)를 충분히 배불리 먹고 한쪽에 가서 일찍 잠들었다. 그때 뒤늦게 결핍의 여신 페니아(Penia)가 나타났다. 이미 신궁에는 음식이 거의 남지 않은 상태였다. 페니아 여신은 너무 속상해 하면서 조금이라도 더 남은 음식을 찾기 위해 여기저기 둘러보다 여유롭게 잠든 배부른 포로스 신을 보게 되었다. 페니아 여신은 분하고 괴씸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언제나 포로스 신과 함께라면 굶주리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만 잠든 그를 범해버렸다. 이렇게 태어난 아기가 사랑의 신 에로스다. 그래서 사랑은 언제나 채워져 있는 듯 하면서 부족하게 느껴지는 것일까. 사랑이 이렇게 양면적 모습을 갖는 것은 에로스가 부모의 성질을 그대로 물러받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사랑에 빠진 연인들이 언제나 행복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정말 구름 위를 거닐 듯한 충만감으로 언제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사랑을 하면서도 언제나 외롭다. 사랑이 잔혹한 건 어쩌면 에로스 부모 탓으로 돌려야 할지도.




에로스 신의 탄생 신화는 모두 일곱 가지 버전이 있다. 그렇다고 에로스가 일곱 번 태어났다는 것은 아니다. 가장 많은 학자들이 정설로 인정하는 버전은 전령신 헤르메스(Hermes)와 아름다움의 여신이자 사랑의 여신이었던 아프로디테의 결합에 의해 에로스가 태어났다는 것이다. 그래서 에로스를 사랑(어머니의 속성)의 메신저(아버지의 속성)라고 부른다.


에로스 탄생과 관련한 또 다른 주장으로는 에로스를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보는 것이다. 아프로디테가 아레스와 사랑을 나눌 때에는 이미 헤파이스토스와 결혼한 상태였으므로 그들은 불륜관계였다. 오랜 시간 상당히 뜨거운 사랑을 나누었던 그들은 그들의 불안한 심정이 잘 반영된 두 아들 공포의 신(Phobos)과 근심의 신(Demos)을 낳은 후, 딸인 조화의 여신(Harmonia)을 낳았다. 그때는 그들의 사랑이 공포와 근심 속에서 성숙해 조화를 이루었던 것이다. 그런 그들이 가장 마지막에 낳은 자식이 바로 에로스. 사랑은 이렇게 수많은 고통을 겪은 두 사람이 조화를 이뤄 완성하는 것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089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3496
35 모든 것은 지나간다 바람의종 2007.10.10 6850
34 정말 당신의 짐이 크고 무겁습니까? 바람의종 2007.10.10 18735
33 인터넷 시대 ‘말과 글’의 기묘한 동거 by 진중권 바람의종 2007.10.05 9814
32 천자문이 4언 250구로 된 한편의 시라고? 바람의종 2007.09.26 14778
31 153세 냉동인간이 부활했다? - 냉동인간에 대하여 바람의종 2007.09.19 46843
30 눈은 마음의 창 바람의종 2007.09.06 7610
29 안중근은 의사(義士)인가, 테러리스트인가? 바람의종 2007.09.06 14972
28 사람의 마음을 얻는다는 것 바람의 소리 2007.09.04 6908
27 이런 인연으로 살면 안 될까요 바람의 소리 2007.09.03 10178
26 지금 시작하고, 지금 사랑하자! 바람의 소리 2007.09.03 8144
25 같이 커피를 마시고 싶은 사람 바람의 소리 2007.08.31 8885
24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 맹자의 왕도정치를 통해! 바람의종 2007.08.30 13405
23 물처럼 사는것이 현명한 삶이다 1 바람의 소리 2007.08.20 6911
22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바람의종 2007.08.15 46377
21 행복과 불행은 쌍둥이 형제라고? 바람의종 2007.08.09 22496
20 들꽃 나리 . 2007.06.26 6777
19 스스로 자기를 아프게 하지 말라 바람의종 2007.06.07 6684
18 맑고 좋은 생각으로 여는 하루 바람의종 2007.06.05 6769
17 어머니의 사재기 바람의종 2007.04.13 6767
16 나그네 바람의종 2007.03.09 8278
15 불을 켜면 사라지는 꿈과 이상, 김수영 「구슬픈 肉體」 바람의종 2007.03.09 11382
14 중국 현대문학의 아버지 루쉰, 사실은 의사 지망생이었다? 바람의종 2007.02.28 11293
13 방 안에 서있는 물고기 한 마리- 마그리트 ‘낯설게 하기’ 바람의종 2007.02.08 15474
12 연암 박지원의 황금에 대한 생각 바람의종 2007.02.01 8153
11 세상에서 가장 슬픈건.. 風磬 2007.01.19 102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