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6443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람들은 사랑의 기쁨을 구름 위를 걷는 기분에 비유하기도 한다. 정말로 구름 위를 걸어본 사람은 없을테지만 사랑은 그만큼 사람을 행복하게 해준다는 말이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과연 사랑을 할 때 우리는 시종일관 달콤하기만 했던가. 사랑을 주관하는 신 에로스. 그의 탄생신화에서 사랑의 본질을 찾아보자.


플라톤의『향연』에서 소크라테스의 스승으로 추론되는 여사제 디오티마(Diotima)가 들려주는 사랑 이야기에 귀기울여보자.
아름다움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생일 날, 많은 신들이 그녀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올림포스 신궁으로 모여들었다. 당연히 첫번째 타자는 풍요의 신 포로스(Poros). 그는 신들이 먹는 음식인 암브로시아(ambrosia)와 넥타르(nektar)를 충분히 배불리 먹고 한쪽에 가서 일찍 잠들었다. 그때 뒤늦게 결핍의 여신 페니아(Penia)가 나타났다. 이미 신궁에는 음식이 거의 남지 않은 상태였다. 페니아 여신은 너무 속상해 하면서 조금이라도 더 남은 음식을 찾기 위해 여기저기 둘러보다 여유롭게 잠든 배부른 포로스 신을 보게 되었다. 페니아 여신은 분하고 괴씸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언제나 포로스 신과 함께라면 굶주리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만 잠든 그를 범해버렸다. 이렇게 태어난 아기가 사랑의 신 에로스다. 그래서 사랑은 언제나 채워져 있는 듯 하면서 부족하게 느껴지는 것일까. 사랑이 이렇게 양면적 모습을 갖는 것은 에로스가 부모의 성질을 그대로 물러받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사랑에 빠진 연인들이 언제나 행복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정말 구름 위를 거닐 듯한 충만감으로 언제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사랑을 하면서도 언제나 외롭다. 사랑이 잔혹한 건 어쩌면 에로스 부모 탓으로 돌려야 할지도.




에로스 신의 탄생 신화는 모두 일곱 가지 버전이 있다. 그렇다고 에로스가 일곱 번 태어났다는 것은 아니다. 가장 많은 학자들이 정설로 인정하는 버전은 전령신 헤르메스(Hermes)와 아름다움의 여신이자 사랑의 여신이었던 아프로디테의 결합에 의해 에로스가 태어났다는 것이다. 그래서 에로스를 사랑(어머니의 속성)의 메신저(아버지의 속성)라고 부른다.


에로스 탄생과 관련한 또 다른 주장으로는 에로스를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보는 것이다. 아프로디테가 아레스와 사랑을 나눌 때에는 이미 헤파이스토스와 결혼한 상태였으므로 그들은 불륜관계였다. 오랜 시간 상당히 뜨거운 사랑을 나누었던 그들은 그들의 불안한 심정이 잘 반영된 두 아들 공포의 신(Phobos)과 근심의 신(Demos)을 낳은 후, 딸인 조화의 여신(Harmonia)을 낳았다. 그때는 그들의 사랑이 공포와 근심 속에서 성숙해 조화를 이루었던 것이다. 그런 그들이 가장 마지막에 낳은 자식이 바로 에로스. 사랑은 이렇게 수많은 고통을 겪은 두 사람이 조화를 이뤄 완성하는 것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2723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125
3035 싸이코패스(Psychopath) 인간괴물, 사법권의 테두리에서의 탄생 바람의종 2008.08.13 10341
3034 "'거룩한' 바보가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바람의종 2009.03.31 11082
3033 "10미터를 더 뛰었다" 바람의종 2008.11.11 7702
3032 "그래, 좋다! 밀고 나가자" 바람의종 2008.11.12 12066
3031 "내 가슴을 뛰게 하기 때문이에요" 바람의종 2010.10.23 4907
3030 "내 말을 귓등으로 흘려요" 바람의종 2009.07.06 7618
3029 "내가 늘 함께하리라" 바람의종 2009.05.28 7490
3028 "너. 정말 힘들었구나..." 바람의종 2012.02.16 7553
3027 "너는 특별하다" 바람의종 2010.07.31 7485
3026 "네, 제 자신을 믿어요" 바람의종 2012.09.06 11512
3025 "당신에게서 아름다운 향기가 나네요." 바람의종 2009.11.03 5967
3024 "당신은 나를 알아보는군요" 바람의종 2010.01.14 6179
3023 "당신이 필요해요" 윤안젤로 2013.04.03 12374
3022 "던질 테면 던져봐라" 바람의종 2011.04.12 5441
3021 "무엇이 되고자 하는가?" 바람의종 2012.11.01 10338
3020 "미국의 흑인으로 우뚝 서겠다" 바람의종 2009.11.12 6081
3019 "미국의 흑인으로 우뚝 서겠다" 바람의종 2011.07.27 6140
3018 "미안해. 친구야!" 風文 2014.10.10 13159
3017 "밑바닥에서부터 다시 바라보기" 바람의종 2009.04.13 7254
3016 "바지도 헐렁하게 입어야 해" 바람의종 2010.06.19 4667
3015 "사랑이 식었다"고 말하지만 바람의종 2011.01.31 4303
3014 "삶이 나에게 가르쳐 준 것들" 中 바람의종 2008.03.11 9823
3013 "수고했어, 이젠 조금 쉬어" 바람의종 2010.06.04 3470
3012 "아래를 내려다보지 말라" 風文 2014.12.13 7099
3011 "엄마, 저와 함께 걸으실래요?" 바람의종 2012.01.17 50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