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6445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람들은 사랑의 기쁨을 구름 위를 걷는 기분에 비유하기도 한다. 정말로 구름 위를 걸어본 사람은 없을테지만 사랑은 그만큼 사람을 행복하게 해준다는 말이다. 하지만 정말 그럴까. 과연 사랑을 할 때 우리는 시종일관 달콤하기만 했던가. 사랑을 주관하는 신 에로스. 그의 탄생신화에서 사랑의 본질을 찾아보자.


플라톤의『향연』에서 소크라테스의 스승으로 추론되는 여사제 디오티마(Diotima)가 들려주는 사랑 이야기에 귀기울여보자.
아름다움의 여신 아프로디테의 생일 날, 많은 신들이 그녀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올림포스 신궁으로 모여들었다. 당연히 첫번째 타자는 풍요의 신 포로스(Poros). 그는 신들이 먹는 음식인 암브로시아(ambrosia)와 넥타르(nektar)를 충분히 배불리 먹고 한쪽에 가서 일찍 잠들었다. 그때 뒤늦게 결핍의 여신 페니아(Penia)가 나타났다. 이미 신궁에는 음식이 거의 남지 않은 상태였다. 페니아 여신은 너무 속상해 하면서 조금이라도 더 남은 음식을 찾기 위해 여기저기 둘러보다 여유롭게 잠든 배부른 포로스 신을 보게 되었다. 페니아 여신은 분하고 괴씸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언제나 포로스 신과 함께라면 굶주리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고 그만 잠든 그를 범해버렸다. 이렇게 태어난 아기가 사랑의 신 에로스다. 그래서 사랑은 언제나 채워져 있는 듯 하면서 부족하게 느껴지는 것일까. 사랑이 이렇게 양면적 모습을 갖는 것은 에로스가 부모의 성질을 그대로 물러받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사랑에 빠진 연인들이 언제나 행복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정말 구름 위를 거닐 듯한 충만감으로 언제나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는 사랑을 하면서도 언제나 외롭다. 사랑이 잔혹한 건 어쩌면 에로스 부모 탓으로 돌려야 할지도.




에로스 신의 탄생 신화는 모두 일곱 가지 버전이 있다. 그렇다고 에로스가 일곱 번 태어났다는 것은 아니다. 가장 많은 학자들이 정설로 인정하는 버전은 전령신 헤르메스(Hermes)와 아름다움의 여신이자 사랑의 여신이었던 아프로디테의 결합에 의해 에로스가 태어났다는 것이다. 그래서 에로스를 사랑(어머니의 속성)의 메신저(아버지의 속성)라고 부른다.


에로스 탄생과 관련한 또 다른 주장으로는 에로스를 아레스와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보는 것이다. 아프로디테가 아레스와 사랑을 나눌 때에는 이미 헤파이스토스와 결혼한 상태였으므로 그들은 불륜관계였다. 오랜 시간 상당히 뜨거운 사랑을 나누었던 그들은 그들의 불안한 심정이 잘 반영된 두 아들 공포의 신(Phobos)과 근심의 신(Demos)을 낳은 후, 딸인 조화의 여신(Harmonia)을 낳았다. 그때는 그들의 사랑이 공포와 근심 속에서 성숙해 조화를 이루었던 것이다. 그런 그들이 가장 마지막에 낳은 자식이 바로 에로스. 사랑은 이렇게 수많은 고통을 겪은 두 사람이 조화를 이뤄 완성하는 것 아닐까?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2789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153세 냉동인간이 부활했다? - 냉동인간에 대하여

  4.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5. No Image 29Aug
    by 風文
    2014/08/29 by 風文
    Views 39067 

    '푸른 기적'

  6. 사랑이 잔혹한 이유는 에로스 신 부모 탓?

  7. 쥐인간의 죄책감은 유아기적 무의식부터? - 강박증에 대하여

  8. 행복과 불행은 쌍둥이 형제라고?

  9. No Image 02Feb
    by 바람의종
    2009/02/02 by 바람의종
    Views 21504 

    세한도(歲寒圖) - 도종환 (125)

  10. No Image 20Aug
    by 風文
    2013/08/20 by 風文
    Views 19341 

    희망이란

  11. 현대예술의 엔트로피

  12. No Image 20Aug
    by 風文
    2013/08/20 by 風文
    Views 18749 

    '야하고 뻔뻔하게'

  13. No Image 10Oct
    by 바람의종
    2007/10/10 by 바람의종
    Views 18681 

    정말 당신의 짐이 크고 무겁습니까?

  14. No Image 02Sep
    by 윤영환
    2006/09/02 by 윤영환
    Views 18394 

    136명에서 142명쯤 - 김중혁

  15. No Image 05Feb
    by 風磬
    2006/02/05 by 風磬
    Views 18087 

    Love is...

  16. 그가 부러웠다

  17. No Image 30Aug
    by 바람의종
    2010/08/30 by 바람의종
    Views 17804 

    다다이즘과 러시아 구성주의에 대하여

  18. No Image 20Aug
    by 風文
    2013/08/20 by 風文
    Views 17542 

    커피 한 잔의 행복

  19. 히틀러는 라디오가 없었다면 존재할 수 없었다

  20. No Image 20Aug
    by 風文
    2013/08/20 by 風文
    Views 16633 

    자연을 통해...

  21. No Image 28Aug
    by 風文
    2013/08/28 by 風文
    Views 16385 

    흉터

  22.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16385 

    젊은이들에게 - 괴테

  23. 방 안에 서있는 물고기 한 마리- 마그리트 ‘낯설게 하기’

  24. No Image 19Aug
    by 風文
    2013/08/19 by 風文
    Views 15356 

    신문배달 10계명

  25. No Image 20Aug
    by 風文
    2013/08/20 by 風文
    Views 15355 

    길 떠날 준비

  26. 세계 최초의 아나키스트 정당을 세운 한국의 아나키스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