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367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람들은 대부분 스탈린을 사회주의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회주의’에 대한 사전적 정의에 근거한다면 스탈린은 결코 ‘사회주의자’로 볼 수 없을 것이다.

스탈린 지도부는 국가에 의한 사회의 무력화와 공포 분위기 조성하였다. 러시아의 1937-1938년까지 정치 관련 범죄로 체포, 수감된 인구는 1.344.923명, 그 중에서는 총살된 인구는 681.692명이었다. 대체로 총살되는 이들은 거의 다수의 “구 공산당원” 등 잠재적으로 반체제 활동을 할 가능성이 있었던 자러 잠재적인 적에 대한 “선제공격”이었다. 그 결과 원자화, 순치된 사회로 “사회적 운동” 가능성의 봉쇄했다.


경제적 폭력은 특히 “농민들의 협동화”, 1929년 이후 사실상 농민들의 자율성을 말살시키고, 농촌으로부터 잉여를 수취하여 공업부문에 투자시키기 위한 매우 가혹한 “농업 희생 정책”을 했다. 또한 스탈린 지도부는 “생존 경쟁” 사회의 탄생을 시도했는데, 하류층 출신의 소련 시민에게는 최대의 과제란 “굶어죽지 않기”, “가족 살리기” 정도였다. 정권이 안정된 상황에서는 “생존”의 주된 방법은 정권에 대한 충성으로 소련 국민의 “가시적인 충성심”은 상당부분 내면화된 생존의 전략이었다.


폭력적인 “농촌 말살”을 기반으로 하여, 공업 경제는 1930년대에 기적적인 압축 성장을 이루어 도시 주민에 대한 포섭 정책을 가능케 했다. 그 대가로 실질 임금의 동결 내지 소폭 하락했고, 구조화된 과로 (하루 15시간씩 노동), 매우 높은 산재사망률을 보였다. 그런데 교육, 의료 분야에서의 국가의 포섭 정책이 민중의 희생에 대한 일종의 “대가”를 지불하는 셈이었다.

결국, 박정희 정권보다는 오히려 스탈린주의는 기본적인 위로부터의 압축 성장 패턴은 비슷하다고 해도, “대중 독재”의 형태에 다 가까웠다고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5724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190
110 자족에 이르는 길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16 6905
109 네비게이션에 없는 길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14 7123
108 냉이꽃 한 송이도 제 속에서 거듭 납니다 바람의종 2008.04.11 6859
107 4월 이야기 바람의종 2008.04.10 10077
106 화개 벚꽃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09 8593
105 다리가 없는 새가 살았다고 한다. 바람의종 2008.04.05 8918
104 달을 먹다 바람의종 2008.05.22 6912
103 편안한 마음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5.20 7518
102 부처님 말씀 / 도종환 윤영환 2008.05.14 6275
101 지하철에서 노인을 만나면 무조건 양보하라 바람의종 2008.05.22 7742
100 로마시대의 원더랜드, ‘하드리아누스의 빌라’ 바람의종 2008.05.22 13506
99 나에게 맞는 옷을 찾아라 바람의종 2008.05.22 7136
98 내가 행복한 이유 바람의종 2008.05.13 5274
97 개 코의 놀라운 기능 바람의종 2008.05.08 9062
96 원초적인 생명의 제스처, 문학 바람의종 2008.05.06 9038
95 시간은 반드시 직선으로 흐르지 않는다 바람의종 2008.04.29 7880
94 마음으로 소통하라 바람의종 2008.04.25 5819
93 교환의 비밀: 가난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바람의종 2008.04.22 6731
92 행복한 농사꾼을 바라보며 바람의종 2008.04.22 8825
91 아배 생각 - 안상학 바람의종 2008.04.17 6698
90 행운에 짓밟히는 행복 바람의종 2008.04.16 8515
89 행복한 미래로 가는 오래된 네 가지 철학 바람의종 2008.04.16 8395
88 소를 보았다 바람의종 2008.04.11 9621
87 불가능에 도전하는 용기학교 바람의종 2008.04.11 6204
86 현대예술의 엔트로피 바람의종 2008.04.09 189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