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252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天長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
是以聖人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
                                                     『노자』 7장 中

하늘은 너르고 땅은 오래간다. 하늘과 땅이 능히 너르고 오래갈 수 있음은, 자기의 삶을 조작치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능히 오래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하므로 성스러운 사람은 몸을 뒤로 하기에 그 몸이 앞서고, 그 몸을 내던지기에 그 몸이 존한다. 이것은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능히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해탈이라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모든 것을 털어버리고 무(無)의 상태로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무의 상태란 아무 것도 없음이다. 그런데 그 아무것도 없음엔 담을 수 없는 많은 것들이 존재한다. 눈에 보이는 것들을 모두 털어냄으로써 그 어떠한 것도 담을 수 있는 무한한 그릇을 만드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능히 사사로운” 것들을 담아낼 수 있게 된다.



생의 사사로움 이란 무엇일까? 한 끼 식사를 해결하고, 그 식단 안에 3대 영양소를 골고루 배합하는, 더 나아가 3대 영양소를 포함하면서도 혀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혀를 만족시켜 주는 것과 동시에 분위기 있는 장소에서 근사한 옷을 맘껏 뽐내며, 멋스러운 여유를 즐기는 것. 그런데 그것은 한이 없다. 근사한 치마를 사면 그에 따르는 근사한 구두를 신어야 하고 또 그에 걸 맞는 핸드백과 스카프라든지 어울리는 아이템을 걸쳐야 하는 것이다. 문제는 ‘-하는 것이다’라는 말에 있다. 한 끼 식사에는 분위기 있는 장소와 근사한 옷과 신발이 꼭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기에 말이다. 이것들은 분명 사사로운 것들이리라.


누군가를 미워하고 누군가를 시기하며, 반대로 누군가를 좋아하고 소유하고 싶어 하는 그러한 것들은 무엇인가? 이것 또한 ‘사사로움’ 혹은 ‘덧없음’이라 말할 수 있겠는가?
‘좋음’ 또는 ‘싫음’ 감정 자체는 사사로운 것이라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좋아하고 싫어하면서 생기는 그야말로 사사로운 감정의 격변들이다. 누군가를 미워하면 그 사람의 사소한 행동과 습관까지도 거슬리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거슬림’은 자신의 행동과 마음까지 바꿔놓게 된다. ‘있는 대로의 현상과 사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대로 주위의 환경과 사람을 평가하고 규정짓는 데서 사사로움이 시작되는 것이다.


노자는 “몸을 내져짐으로 해서 몸이 존하고, 새로이 존한 몸으로 모든 사사로운 것들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해탈’의 경지와 다름 아니다. 지고의 득도에 의한 어려운 해탈이 아니라, 나와 너를 이해하고 ‘너의 사사로움’을 인정할 때 생기는 작은 인정의 샘이 바로 무한의 그릇의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

몸을 내던지는 것만큼 어렵고도 쉬운 것은 없다. ‘될 대로 되라’의 자포자기적인 내던짐이 아니라, 자신을 비우고 삶의 작은 모든 것을 담을 소박한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다면 이미 ‘무한그릇’의 초벌굽기는 마친 셈이다.








김시천 <도가사상과 현대철학: 노자부터 데리다까지> 제13강 형이상학에서 은유로 I 참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4029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3424
435 건강과 행복 風文 2015.02.14 6761
434 걱정하고 계시나요? 윤안젤로 2013.06.05 10646
433 걱정말고 부탁하세요 바람의종 2010.02.10 4407
432 거절의 의미를 재조명하라 風文 2022.09.16 857
431 거절을 우아하게 받아들여라 風文 2022.10.09 709
430 거절을 열망하라 - 릭 겔리나스 風文 2022.10.06 728
429 거절은 성공의 씨앗 風文 2022.09.15 889
428 거인의 어깨 風文 2019.08.31 842
427 거울은 먼저 웃지 않는다 바람의종 2011.09.29 5334
426 거울과 등대와 같은 스승 風文 2022.05.23 819
425 거울 속의 흰머리 여자 風文 2023.08.22 2013
424 거울 선물 風文 2019.06.04 1070
423 거룩한 나무 風文 2021.09.04 466
422 거기에서 다시 일어서라 風文 2019.08.16 843
421 갱년기 찬가 風文 2022.12.28 775
420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바람의종 2009.09.21 5649
419 개척자 바람의종 2011.02.10 4173
418 개울에 물이 흐르다 바람의종 2009.08.27 5366
417 개울과 바다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7.21 9442
416 개 코의 놀라운 기능 바람의종 2008.05.08 8959
415 같이 커피를 마시고 싶은 사람 바람의 소리 2007.08.31 8880
414 강해 보일 필요가 없다 바람의종 2009.04.25 5661
413 갑자기 눈물을 터뜨린 30대 남성 風文 2020.05.22 935
412 갑자기 25m 자라는 대나무 바람의종 2012.01.13 6021
411 감탄하는 것 바람의종 2012.04.11 51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