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295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天長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
是以聖人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
                                                     『노자』 7장 中

하늘은 너르고 땅은 오래간다. 하늘과 땅이 능히 너르고 오래갈 수 있음은, 자기의 삶을 조작치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능히 오래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하므로 성스러운 사람은 몸을 뒤로 하기에 그 몸이 앞서고, 그 몸을 내던지기에 그 몸이 존한다. 이것은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능히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해탈이라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모든 것을 털어버리고 무(無)의 상태로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무의 상태란 아무 것도 없음이다. 그런데 그 아무것도 없음엔 담을 수 없는 많은 것들이 존재한다. 눈에 보이는 것들을 모두 털어냄으로써 그 어떠한 것도 담을 수 있는 무한한 그릇을 만드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능히 사사로운” 것들을 담아낼 수 있게 된다.



생의 사사로움 이란 무엇일까? 한 끼 식사를 해결하고, 그 식단 안에 3대 영양소를 골고루 배합하는, 더 나아가 3대 영양소를 포함하면서도 혀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혀를 만족시켜 주는 것과 동시에 분위기 있는 장소에서 근사한 옷을 맘껏 뽐내며, 멋스러운 여유를 즐기는 것. 그런데 그것은 한이 없다. 근사한 치마를 사면 그에 따르는 근사한 구두를 신어야 하고 또 그에 걸 맞는 핸드백과 스카프라든지 어울리는 아이템을 걸쳐야 하는 것이다. 문제는 ‘-하는 것이다’라는 말에 있다. 한 끼 식사에는 분위기 있는 장소와 근사한 옷과 신발이 꼭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기에 말이다. 이것들은 분명 사사로운 것들이리라.


누군가를 미워하고 누군가를 시기하며, 반대로 누군가를 좋아하고 소유하고 싶어 하는 그러한 것들은 무엇인가? 이것 또한 ‘사사로움’ 혹은 ‘덧없음’이라 말할 수 있겠는가?
‘좋음’ 또는 ‘싫음’ 감정 자체는 사사로운 것이라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좋아하고 싫어하면서 생기는 그야말로 사사로운 감정의 격변들이다. 누군가를 미워하면 그 사람의 사소한 행동과 습관까지도 거슬리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거슬림’은 자신의 행동과 마음까지 바꿔놓게 된다. ‘있는 대로의 현상과 사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대로 주위의 환경과 사람을 평가하고 규정짓는 데서 사사로움이 시작되는 것이다.


노자는 “몸을 내져짐으로 해서 몸이 존하고, 새로이 존한 몸으로 모든 사사로운 것들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해탈’의 경지와 다름 아니다. 지고의 득도에 의한 어려운 해탈이 아니라, 나와 너를 이해하고 ‘너의 사사로움’을 인정할 때 생기는 작은 인정의 샘이 바로 무한의 그릇의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

몸을 내던지는 것만큼 어렵고도 쉬운 것은 없다. ‘될 대로 되라’의 자포자기적인 내던짐이 아니라, 자신을 비우고 삶의 작은 모든 것을 담을 소박한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다면 이미 ‘무한그릇’의 초벌굽기는 마친 셈이다.








김시천 <도가사상과 현대철학: 노자부터 데리다까지> 제13강 형이상학에서 은유로 I 참고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4944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14Nov
    by 바람의종
    2012/11/14 by 바람의종
    Views 8329 

    외로움 때문에

  4. No Image 11Jun
    by 바람의종
    2012/06/11 by 바람의종
    Views 8327 

    '찰지력'과 센스

  5. No Image 20Dec
    by 바람의종
    2007/12/20 by 바람의종
    Views 8322 

    solomoon 의 잃어버린 사랑을 위하여(17대 대선 특별판)

  6. No Image 21Dec
    by 바람의종
    2012/12/21 by 바람의종
    Views 8317 

    1만 시간의 법칙

  7. No Image 07Mar
    by 윤안젤로
    2013/03/07 by 윤안젤로
    Views 8317 

    고마워...

  8. No Image 24Dec
    by 風文
    2014/12/24 by 風文
    Views 8317 

    "일단 해봐야지, 엄마"

  9. No Image 14Feb
    by 바람의종
    2013/02/14 by 바람의종
    Views 8309 

    "우리는 행복했다"

  10. No Image 14Feb
    by 바람의종
    2013/02/14 by 바람의종
    Views 8307 

    단식과 건강

  11. No Image 16Dec
    by 風文
    2014/12/16 by 風文
    Views 8304 

    흉내내기

  12. No Image 11Mar
    by 윤안젤로
    2013/03/11 by 윤안젤로
    Views 8303 

    아버지 책 속의 옛날돈

  13. No Image 20May
    by 바람의종
    2009/05/20 by 바람의종
    Views 8302 

    「그 부자(父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14. 벽을 허물자

  15. 사사로움을 담을 수 있는 무한그릇

  16. No Image 09Mar
    by 바람의종
    2007/03/09 by 바람의종
    Views 8293 

    나그네

  17. No Image 14Feb
    by 바람의종
    2013/02/14 by 바람의종
    Views 8292 

    아버지의 포옹

  18. No Image 28Dec
    by 風文
    2014/12/28 by 風文
    Views 8274 

    무슨 일이 일어나든...

  19. 왕이시여, 어찌 이익을 말씀하십니까?

  20. No Image 10Dec
    by 바람의종
    2012/12/10 by 바람의종
    Views 8265 

    오늘 음식 맛

  21. No Image 08Mar
    by 바람의종
    2008/03/08 by 바람의종
    Views 8258 

    '나는 내가 바꾼다' 중에서

  22. No Image 15Nov
    by 바람의종
    2008/11/15 by 바람의종
    Views 8258 

    가을 오후 - 도종환 (94)

  23. No Image 31Dec
    by 바람의종
    2012/12/31 by 바람의종
    Views 8258 

    향기에서 향기로

  24. No Image 12Mar
    by 바람의종
    2008/03/12 by 바람의종
    Views 8253 

    무관심

  25. No Image 21Dec
    by 바람의종
    2012/12/21 by 바람의종
    Views 8245 

    새로운 세상을 창조한다

  26. No Image 11Feb
    by 바람의종
    2008/02/11 by 바람의종
    Views 8244 

    진실한 사랑

  27. No Image 11Sep
    by 바람의종
    2012/09/11 by 바람의종
    Views 8235 

    큰일을 낸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