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329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天長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
是以聖人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
                                                     『노자』 7장 中

하늘은 너르고 땅은 오래간다. 하늘과 땅이 능히 너르고 오래갈 수 있음은, 자기의 삶을 조작치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능히 오래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하므로 성스러운 사람은 몸을 뒤로 하기에 그 몸이 앞서고, 그 몸을 내던지기에 그 몸이 존한다. 이것은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능히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해탈이라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모든 것을 털어버리고 무(無)의 상태로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무의 상태란 아무 것도 없음이다. 그런데 그 아무것도 없음엔 담을 수 없는 많은 것들이 존재한다. 눈에 보이는 것들을 모두 털어냄으로써 그 어떠한 것도 담을 수 있는 무한한 그릇을 만드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능히 사사로운” 것들을 담아낼 수 있게 된다.



생의 사사로움 이란 무엇일까? 한 끼 식사를 해결하고, 그 식단 안에 3대 영양소를 골고루 배합하는, 더 나아가 3대 영양소를 포함하면서도 혀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혀를 만족시켜 주는 것과 동시에 분위기 있는 장소에서 근사한 옷을 맘껏 뽐내며, 멋스러운 여유를 즐기는 것. 그런데 그것은 한이 없다. 근사한 치마를 사면 그에 따르는 근사한 구두를 신어야 하고 또 그에 걸 맞는 핸드백과 스카프라든지 어울리는 아이템을 걸쳐야 하는 것이다. 문제는 ‘-하는 것이다’라는 말에 있다. 한 끼 식사에는 분위기 있는 장소와 근사한 옷과 신발이 꼭 있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기에 말이다. 이것들은 분명 사사로운 것들이리라.


누군가를 미워하고 누군가를 시기하며, 반대로 누군가를 좋아하고 소유하고 싶어 하는 그러한 것들은 무엇인가? 이것 또한 ‘사사로움’ 혹은 ‘덧없음’이라 말할 수 있겠는가?
‘좋음’ 또는 ‘싫음’ 감정 자체는 사사로운 것이라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좋아하고 싫어하면서 생기는 그야말로 사사로운 감정의 격변들이다. 누군가를 미워하면 그 사람의 사소한 행동과 습관까지도 거슬리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거슬림’은 자신의 행동과 마음까지 바꿔놓게 된다. ‘있는 대로의 현상과 사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대로 주위의 환경과 사람을 평가하고 규정짓는 데서 사사로움이 시작되는 것이다.


노자는 “몸을 내져짐으로 해서 몸이 존하고, 새로이 존한 몸으로 모든 사사로운 것들을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해탈’의 경지와 다름 아니다. 지고의 득도에 의한 어려운 해탈이 아니라, 나와 너를 이해하고 ‘너의 사사로움’을 인정할 때 생기는 작은 인정의 샘이 바로 무한의 그릇의 출발점이 되는 것이다.

몸을 내던지는 것만큼 어렵고도 쉬운 것은 없다. ‘될 대로 되라’의 자포자기적인 내던짐이 아니라, 자신을 비우고 삶의 작은 모든 것을 담을 소박한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다면 이미 ‘무한그릇’의 초벌굽기는 마친 셈이다.








김시천 <도가사상과 현대철학: 노자부터 데리다까지> 제13강 형이상학에서 은유로 I 참고


  1. No Image notice by 風文 2023/02/04 by 風文
    Views 16227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2. 친구야 너는 아니

  3. No Image 03Feb
    by 바람의종
    2008/02/03 by 바람의종
    Views 7267 

    진득한 기다림

  4. 사사로움을 담을 수 있는 무한그릇

  5. 하늘에서 코끼리를 선물 받은 연암 박지원

  6. No Image 11Feb
    by 바람의종
    2008/02/11 by 바람의종
    Views 8283 

    진실한 사랑

  7. No Image 12Feb
    by 바람의종
    2008/02/12 by 바람의종
    Views 6304 

    어머니의 한쪽 눈

  8. No Image 13Feb
    by 바람의종
    2008/02/13 by 바람의종
    Views 7916 

    나는 네게 기차표를 선물하고 싶다

  9. No Image 14Feb
    by 바람의종
    2008/02/14 by 바람의종
    Views 7032 

    사랑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10. No Image 15Feb
    by 바람의종
    2008/02/15 by 바람의종
    Views 7383 

    신종사기

  11. No Image 15Feb
    by 바람의종
    2008/02/15 by 바람의종
    Views 7788 

    사랑

  12. 깨기 위한 금기, 긍정을 위한 부정

  13. No Image 16Feb
    by 바람의종
    2008/02/16 by 바람의종
    Views 6712 

    수학적으로 정확하게 계산된 세계

  14. No Image 17Feb
    by 바람의종
    2008/02/17 by 바람의종
    Views 10829 

    안병무 '너는 가능성이다' 中

  15. No Image 18Feb
    by 바람의종
    2008/02/18 by 바람의종
    Views 6670 

    닥터 지바고 중

  16. No Image 19Feb
    by 바람의종
    2008/02/19 by 바람의종
    Views 8174 

    젊은 날의 초상 中

  17. 이성을 유혹하는 향수, 그 실체는?

  18. No Image 20Feb
    by 바람의종
    2008/02/20 by 바람의종
    Views 6171 

    사랑을 논하기에 앞서..

  19. No Image 21Feb
    by 바람의종
    2008/02/21 by 바람의종
    Views 10087 

    참새와 죄수

  20. No Image 22Feb
    by 바람의종
    2008/02/22 by 바람의종
    Views 8929 

    테리, 아름다운 마라토너

  21. No Image 23Feb
    by 바람의종
    2008/02/23 by 바람의종
    Views 8676 

    <죽은 시인의 사회> 中

  22. No Image 24Feb
    by 바람의종
    2008/02/24 by 바람의종
    Views 7375 

    나의 아버지는 내가...

  23. No Image 25Feb
    by 바람의종
    2008/02/25 by 바람의종
    Views 7036 

    죽음에 대한 불안 두 가지.

  24. No Image 27Feb
    by 바람의종
    2008/02/27 by 바람의종
    Views 10077 

    박상우 <말무리반도>

  25. No Image 28Feb
    by 바람의종
    2008/02/28 by 바람의종
    Views 11423 

    엄창석,<색칠하는 여자>

  26. No Image 29Feb
    by 바람의종
    2008/02/29 by 바람의종
    Views 11273 

    김인숙 <거울에 관한 이야기>

  27. No Image 01Mar
    by 바람의종
    2008/03/01 by 바람의종
    Views 7584 

    '사랑 할 땐 별이 되고'중에서... <이해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