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772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처럼 인터넷에 목매는 나라도 없을 것이다. 유럽인들은 필요한 정보를 찾을 때를 빼면 사이버 공간에 들어가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반면 우리는 하루의 상당 시간을 인터넷에 들어가 산다. 메신저로 타인과 끊임없이 대화하고, 다른 이의 블로그, 기관이나 단체 홈페이지로 마실 다니기를 즐긴다. 서구의 인터넷 이용이 '정보적'이라면, 우리의 인터넷 문화는 이렇게 '친교적'이다.

소통에서 친교성이 중시되고, 논쟁에 감정이 실리는 것은 구술문화의 특징이다. 해방 직후 우리나라의 문맹률은 90%. 그때만 해도 인구 대부분이 구술문화에 속해 있었다는 얘기다. 그로부터 60여 년이 지난 오늘날, 우리 사회의 문맹률은 거의 0%에 가깝다. 서구에서 몇 백 년이 걸린 과정을 우리는 몇 십 년 만에 뚝딱 해치워버렸다. 구술문화의 특성을 완전히 지우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 아닌가. 우리 의식에 아직 구술적 특성이 강하게 남은 것은 이 때문이다.


구술문화의 특징은 이성적이기보다는 감정적이고, 그 인격이 개성적이기보다 집단적이며, 혹은 그 의식이 반성적이기보다 의타적이다. 어떠한 사물을 ‘정의’하려는 시도도, 삼단논법의 형식 논리도 구술문화에서는 굳이 필요하지 않은 일이다. 인터넷에서 툭하면 벌어지는 집단 따돌림, 악플이 난무한 현상은 논증과 증거를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사법체계 이전, 즉 그 옛날 촌락공동체에서 행해지던 멍석말이의 디지털 버전이다. 구술문화의 사유와 정서를 가진 우리들에게 인터넷은 적어도 사이버 공간에서나마 잃어버린 촌락공동체를 다시 돌려주었다.


우리의 인터넷 글쓰기를 보면 논리나 추론은 없고 찬양이나 비난만 있다. 차가운 비판은 없고, 넘치는 것이 뜨거운 욕설이다. 자신의 인격을 책임진 개인은 사라지고, ID 뒤에 숨은 익명의 집단들이 떼를 이뤄 사냥감을 찾아 다닌다. 그러다가 공격 대상을 발견하면, 디지털 멍석말이에 들어가 마음껏 원시적 감정을 분출한다. 우리의 인터넷에서 너무나 자주 보는 이런 현상은 분명히 문자문화 이전의 습성, 일종의 문화 지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정보화 시대를 맞아 이 정신적 낙후성이 외려 기술적 선진성의 토대가 되고 있다. 인터넷 자체가 새로운 구술성의 매체이기 때문이다.

인터넷 글쓰기는 입을 통해 나오는 말을 글로 타이핑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구술문화와 문자문화가 묘하게 뒤섞인다. 우리가 그토록 인터넷에 열광하는 이유는, 여전히 강한 구술성이 남은 우리의 의식이 거기에 적합한 첨단매체를 찾았기 때문이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164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538
60 회의 시간은 1시간 안에 風文 2023.01.19 763
59 후배 직원을 가족같이 사랑하라 바람의종 2008.07.09 7025
58 후회 윤영환 2009.09.28 5677
57 후회하지마! 風文 2015.06.22 6478
56 훈훈한 기운 바람의종 2010.09.07 3732
55 훌륭한 아이 바람의종 2012.05.06 6118
54 훗날을 위하여 바람의종 2010.01.19 6562
53 휘파람은 언제 부는가 바람의종 2010.06.04 5891
52 휴 프레이더의 '나에게 쓰는 편지' 中 - 바람의종 2008.03.10 9170
51 휴(休) 바람의종 2010.04.12 3895
50 휴식은 생산이다 風文 2014.12.18 8297
49 휴식의 시간 바람의종 2010.01.18 5910
48 흉내내기 風文 2014.12.16 8247
47 흉내내기를 베어버려라. 風文 2020.05.27 751
46 흉터 風文 2013.08.28 16385
45 흉터 바람의종 2009.07.16 5880
44 흐르게 하라 바람의종 2009.12.23 6258
43 흐르는 눈물만 눈물인 줄 아느냐 바람의종 2010.01.06 5041
42 흐린 하늘 흐린 세상 - 도종환 (131) 바람의종 2009.02.17 7840
41 흑자 인생 바람의종 2012.08.16 6985
40 흔들리지 않는 '절대 법칙' 風文 2015.02.10 5982
39 흘려보내야 산다 바람의종 2011.04.12 4318
38 바람의종 2012.02.02 8174
37 흙도 부드러워야 좋다 바람의종 2010.05.05 3658
36 흙을 준비하라 風文 2014.11.24 97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