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844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처럼 인터넷에 목매는 나라도 없을 것이다. 유럽인들은 필요한 정보를 찾을 때를 빼면 사이버 공간에 들어가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다. 반면 우리는 하루의 상당 시간을 인터넷에 들어가 산다. 메신저로 타인과 끊임없이 대화하고, 다른 이의 블로그, 기관이나 단체 홈페이지로 마실 다니기를 즐긴다. 서구의 인터넷 이용이 '정보적'이라면, 우리의 인터넷 문화는 이렇게 '친교적'이다.

소통에서 친교성이 중시되고, 논쟁에 감정이 실리는 것은 구술문화의 특징이다. 해방 직후 우리나라의 문맹률은 90%. 그때만 해도 인구 대부분이 구술문화에 속해 있었다는 얘기다. 그로부터 60여 년이 지난 오늘날, 우리 사회의 문맹률은 거의 0%에 가깝다. 서구에서 몇 백 년이 걸린 과정을 우리는 몇 십 년 만에 뚝딱 해치워버렸다. 구술문화의 특성을 완전히 지우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이 아닌가. 우리 의식에 아직 구술적 특성이 강하게 남은 것은 이 때문이다.


구술문화의 특징은 이성적이기보다는 감정적이고, 그 인격이 개성적이기보다 집단적이며, 혹은 그 의식이 반성적이기보다 의타적이다. 어떠한 사물을 ‘정의’하려는 시도도, 삼단논법의 형식 논리도 구술문화에서는 굳이 필요하지 않은 일이다. 인터넷에서 툭하면 벌어지는 집단 따돌림, 악플이 난무한 현상은 논증과 증거를 중심으로 하는 근대적 사법체계 이전, 즉 그 옛날 촌락공동체에서 행해지던 멍석말이의 디지털 버전이다. 구술문화의 사유와 정서를 가진 우리들에게 인터넷은 적어도 사이버 공간에서나마 잃어버린 촌락공동체를 다시 돌려주었다.


우리의 인터넷 글쓰기를 보면 논리나 추론은 없고 찬양이나 비난만 있다. 차가운 비판은 없고, 넘치는 것이 뜨거운 욕설이다. 자신의 인격을 책임진 개인은 사라지고, ID 뒤에 숨은 익명의 집단들이 떼를 이뤄 사냥감을 찾아 다닌다. 그러다가 공격 대상을 발견하면, 디지털 멍석말이에 들어가 마음껏 원시적 감정을 분출한다. 우리의 인터넷에서 너무나 자주 보는 이런 현상은 분명히 문자문화 이전의 습성, 일종의 문화 지체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정보화 시대를 맞아 이 정신적 낙후성이 외려 기술적 선진성의 토대가 되고 있다. 인터넷 자체가 새로운 구술성의 매체이기 때문이다.

인터넷 글쓰기는 입을 통해 나오는 말을 글로 타이핑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구술문화와 문자문화가 묘하게 뒤섞인다. 우리가 그토록 인터넷에 열광하는 이유는, 여전히 강한 구술성이 남은 우리의 의식이 거기에 적합한 첨단매체를 찾았기 때문이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6002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5457
60 의식 있는 진화 風文 2014.10.10 12897
59 인연 風文 2014.09.25 12898
58 침착을 되찾은 다음에 風文 2015.08.20 12949
57 '나는 운이 좋은 사람' 風文 2014.10.18 13007
56 다시 태어난다. 단식의 힘 風文 2014.10.20 13081
55 '제로'에 있을 때 風文 2014.10.20 13130
54 "미안해. 친구야!" 風文 2014.10.10 13230
53 산벚나무 / 도종환 바람의종 2008.04.18 13234
52 째깍 째깍 시간은 간다 윤안젤로 2013.06.15 13327
51 슬럼프의 기미가 보일수록 風文 2014.08.29 13381
50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 맹자의 왕도정치를 통해! 바람의종 2007.08.30 13456
49 당신의 몸에서는 어떤 향이 나나요? 風文 2013.08.09 13497
48 로마시대의 원더랜드, ‘하드리아누스의 빌라’ 바람의종 2008.05.22 13526
47 '부족한 사람'이기 때문에 風文 2013.08.09 13600
46 위기관리 능력 10 윤안젤로 2013.04.19 13605
45 힘써야 할 세가지 일 바람의종 2012.08.29 13736
44 진정한 '자기만남' 윤안젤로 2013.06.15 13752
43 친구와 힐러 風文 2013.08.20 13797
42 비가 내리는 날 風文 2013.08.28 13890
41 뱃머리 風文 2013.08.28 13969
40 코앞에 두고도... 風文 2013.08.19 13974
39 콧노래 윤안젤로 2013.06.03 13989
38 타자(他者)의 아픔 風文 2014.10.06 14030
37 Gustav Klimt and the adagietto of the Mahler 5th symphony 바람의종 2008.03.27 14104
36 하늘에서 코끼리를 선물 받은 연암 박지원 바람의종 2008.02.09 141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