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6318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옆 그림을 보면 느낌이 어떠한가? 이 그림은 반복적인 형태의 화면을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우리가 볼 때 시각적으로 어지럽고, 정신없고, 그림이 움직이는 듯한 착시가 일어나, 한 부분을 오래 바라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그림을 우리는 ‘옵티컬 아트’ 줄여서 ‘옵아트’ 라고 부른다. 3년 남짓 지속된 ‘옵아트’는 단명했다. 전성기에도 대중의 사랑을 받는 데에는 실패했다. 착시를 이용한 시각의 놀이가 유치하게 여겨진 것일까? 하지만 탈근대를 지향하는 최근의 철학적 분위기와 컴퓨터가 주도하는 최근의 미디어 환경을 고려할 때, ‘옵아트’라는 현상을 최소한 지금보다는 더 진지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옵아트’ 하면 떠오른 이름 중의 하나가 브리짓 라일리다. 그녀의 작품 <물결>(1964)을 보자. 위에서 아래로 그려진 수많은 곡선들이 화면에 크고 작은 물결을 일으켜, 바라보는 이의 눈을 어지럽게 만든다. 분명히 정지된 그림임에도 불구하고, 관찰자의 눈은 그 안에서 수많은 운동을 보고, 그 속도감에 아찔한 현기증까지 느끼게 된다. 라일리에게 자연은 현상이라기보다는 사건이다. 그 사건은 시간이 정지된 곳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옵아트’가 내는 "공시적 운동"의 효과다.

바사레이에 따르면 작품이란 모름지기 언제든지 반복가능하고, 얼마든지 증식 가능해야 하며, 어떻게든 변경 가능해야 한다. 그는 기본 모티브를 반복하여 사방으로 증식시켜 나가는 가운데 조금씩 뉘앙스를 변화시키는 계열적 작업방식을 사용했다. 그렇게 만든 작품은 만화경을 연상케 한다. 만화경의 효과도 마주보는 거울을 이용해 하나의 모티브를 대칭구조로 무한히 복제하는 데에 있지 않은가!




수학적 디자인, 계열적 처리와 같은 ‘옵아트’의 작업방식은, 그것이 행해지던 60년대보다는 차라리 오늘날 컴퓨터가 주도하는 미디어 환경에 더 어울린다. 그뿐이 아니다. 그 동안 ‘옵아트’는 주로 '지각'의 심리학이라는 측면에서 현상학적으로 설명되어 왔다. 하지만 철학의 분위기가 6, 70년대와는 현저히 달라졌다. ‘옵아트’의 본질을 제대로 드러내려면 이보다는 좀 더 깊은 철학적 해석이 있어야 할 것 같다. ‘옵아트’를 올려놓을 해석의 지평 자체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모든 것을 잊고 놀이를 하는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놀이에 몰두한 아이에게 시간은 정지된다. 아니, 그는 다른 종류의 시간대에 살게 된다. ‘옵아트’의 체험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물리적 움직임은 없는데도, 요란한 심리적 움직임이 있다. 여기서 운동은 통시성이 아니라 공시성의 축을 따른다. 시간은 멈추었는데, 사건은 무한히 반복하여 일어난다. 아무 시간도 아닌 것이 모든 시간을 포함한다. 정중동(靜中動), 혹시 이게 니체가 말한 ‘영겁 회귀’의 놀이가 아닐까?

<작품 감상>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3394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2749
    read more
  3. 「똥개의 노래」(소설가 김종광)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6647
    Read More
  4. 「니들이 고생이 많다」(소설가 김이은)

    Date2009.07.29 By바람의종 Views7585
    Read More
  5. 「누구였을까」(소설가 한창훈)

    Date2009.06.12 By바람의종 Views5322
    Read More
  6. 「내 이름은 이기분」(소설가 김종광)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8519
    Read More
  7. 「내 말이 그렇게 어려운가요」(시인 조용미)

    Date2009.07.10 By바람의종 Views7919
    Read More
  8. 「긴장되고 웃음이 있고 재미있으며 좀 가려운」(소설가 성석제)

    Date2009.05.12 By바람의종 Views7835
    Read More
  9. 「그녀 생애 단 한 번」(소설가 정미경)

    Date2009.06.09 By바람의종 Views10211
    Read More
  10. 「그 부자(父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Date2009.05.20 By바람의종 Views8202
    Read More
  11. 「그 모자(母子)가 사는 법」(소설가 한창훈)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6166
    Read More
  12. 「광진이 형」(시인 김두안)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7918
    Read More
  13. 「개업식장이 헷갈려」(시인 이대의)

    Date2009.08.03 By바람의종 Views7845
    Read More
  14.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11014
    Read More
  15. 「2호차 두 번째 입구 옆자리」(시인 차주일)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9307
    Read More
  16. 「1997년도라는 해」(시인 김영남)

    Date2009.07.29 By바람의종 Views7989
    Read More
  17. 「"에라이..."」(시인 장무령)

    Date2009.07.06 By바람의종 Views7787
    Read More
  18.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Date2007.08.15 By바람의종 Views46318
    Read More
  19. TV에 애인구함 광고를 내보자

    Date2008.09.25 By바람의종 Views9781
    Read More
  20. solomoon 의 잃어버린 사랑을 위하여(17대 대선 특별판)

    Date2007.12.20 By바람의종 Views8261
    Read More
  21. Love is...

    Date2006.02.05 By風磬 Views18173
    Read More
  22. Gustav Klimt and the adagietto of the Mahler 5th symphony

    Date2008.03.27 By바람의종 Views14040
    Read More
  23. GOD

    Date2011.08.07 By바람의종 Views3144
    Read More
  24. AI 챗지피티ChatGPT가 갖지 못한 것

    Date2024.02.08 By風文 Views649
    Read More
  25. <죽은 시인의 사회> 中

    Date2008.02.23 By바람의종 Views8604
    Read More
  26. 9. 아테나

    Date2023.10.18 By風文 Views718
    Read More
  27. 80세 노교수의 건강 비결 두 가지

    Date2024.03.27 By風文 Views64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