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47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불을 끄고 누웠다가
잊어지지 않는 것이 있어
다시 일어났다

암만해도 잊어버리지 못할 것이 있어 다시 불을 켜고 앉았을 때는 이미
내가 찾던 것은 없어졌을 때

반드시 찾으려고 불을 켠 것도 아니지만
없어지는 自體를 보기 위하여서만 불을 켠 것도 아닌데
잊어버려서 아까운지 아까웁지 않은지 헤아릴 사이도 없이 불은 켜지고

나는 잠시 아름다운 統覺과 조화와 영원과 귀결을 찾지 않으려 한다

어둠 속에 본 것은 청춘이었는지 대지의 진동이었는지
나는 자꾸 땅만 만지고 싶었는데
땅과 몸이 일체가 되기를 원하며 그것만을 힘삼고 있었는데

오히려 그러한 불굴의 의지에서 나오는 것인가
어둠 속에서 일순간을 다투며
없어져버린 애처롭고 아름답고 화려하고 부박한 꿈을 찾으려 하는 것은

생활이여 생활이여
잊어버린 생활이여






(김수영 「구슬픈 肉體」 중에서)

불을 끄고 누웠다가 잊혀지지 않는 것이 있어 다시 일어나 본 적이 있으신지요. 사람에게는 누구나 꿈이 있습니다. 그 꿈이 현실화되지 못할 때 좌절감이 생기고 사무침이 생깁니다. 고달픈 하루를 보내고 잠자리에 들면 그 사무침은 더욱 절실해집니다. 어둠 속에서 천장 모서리를 물끄러미 보고 있노라면 좌절한 자아, 사무침이 일상화된 자아가 보이지요.
아름답고 화려한 나의 꿈, 그러나 현실 속에서는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꿈. 잠이 들락 말락 할 때 불현듯 떠오르는 게 이런 생각들이지요. 그리하여 벌떡 일어나 불을 켜면 상상한 것들, 어른거린 것들은 찰나에 없어져 버립니다. 불을 켠 순간은 허상을 벗어나 이성을 되찾는 순간이기 때문입니다. 나는 불이 켜지는 현실로 돌아와야 하는 존재이며 쉴 새 없이 가야 하는 존재입니다.

이 시에는 이렇게 꿈과 현실 사이에서 느낄 수밖에 없는 괴리감, 현실을 살아야만 하는 비애감이 묻어있습니다. 매 순간 현실을 살아 내야 하는 긴장감과 비장함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는 화자 뿐 아니라 누구든 마주쳐야만 하는 현실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비록 어둠 속에서 없어져 버린 부박하고 허황된 꿈일지라도 그런 ‘꿈’이 있기에 현실을 살아가는 힘이 생기는 것이라고. 이상이 없이 살아가는 현실은 의지를 만들어내지 못합니다. 내가 바라는 이상적인 세계를 향해 끝없이 나아가려 발버둥치는 것이 현실이며, 이 현실이 고통스러운 것은 좀 더 꿈에 가깝게 다가가기 위한 끝없는 인내와 노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입니다.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6577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6008
    read more
  3. 치유의 문

    Date2014.10.18 By風文 Views11507
    Read More
  4. 라이브 무대

    Date2014.08.12 By風文 Views11492
    Read More
  5. 불을 켜면 사라지는 꿈과 이상, 김수영 「구슬픈 肉體」

    Date2007.03.09 By바람의종 Views11471
    Read More
  6. 처음엔 걷지도 못했다

    Date2013.06.03 By윤안젤로 Views11469
    Read More
  7. 소망적 사고

    Date2013.06.05 By윤영환 Views11442
    Read More
  8. Date2014.10.20 By風文 Views11442
    Read More
  9. 하루 한 번쯤

    Date2012.10.29 By바람의종 Views11431
    Read More
  10. 엄창석,<색칠하는 여자>

    Date2008.02.28 By바람의종 Views11430
    Read More
  11. 중국 현대문학의 아버지 루쉰, 사실은 의사 지망생이었다?

    Date2007.02.28 By바람의종 Views11386
    Read More
  12. 모퉁이

    Date2013.07.09 By風文 Views11308
    Read More
  13. 김인숙 <거울에 관한 이야기>

    Date2008.02.29 By바람의종 Views11277
    Read More
  14. 여섯 개의 버찌씨

    Date2009.05.04 By바람의종 Views11242
    Read More
  15. "'거룩한' 바보가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

    Date2009.03.31 By바람의종 Views11238
    Read More
  16. 아흔여섯살 어머니가...

    Date2013.06.05 By윤안젤로 Views11223
    Read More
  17. 한숨의 크기

    Date2013.05.20 By윤안젤로 Views11221
    Read More
  18. 권력의 꽃 - 도종환

    Date2008.07.21 By바람의종 Views11183
    Read More
  19. 친애란 무엇일까요?

    Date2007.10.24 By바람의종 Views11133
    Read More
  20. 「개는 어떻게 웃을까」(시인 김기택)

    Date2009.05.28 By바람의종 Views11111
    Read More
  21. 감춤과 은둔

    Date2015.08.20 By風文 Views11100
    Read More
  22. 저녁의 황사 - 도종환 (134)

    Date2009.03.01 By바람의종 Views11097
    Read More
  23. 초점거리

    Date2013.03.27 By윤안젤로 Views11090
    Read More
  24. 밤새 부르는 사랑 노래

    Date2013.05.27 By윤안젤로 Views11015
    Read More
  25. '할 수 있다'

    Date2013.06.15 By윤안젤로 Views11006
    Read More
  26. 그냥 서 있는 것도 힘들 때

    Date2014.11.12 By風文 Views10997
    Read More
  27. 한 번도 패배한 적이 없는 사람들

    Date2014.11.12 By風文 Views1096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