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469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 닭 보듯 한다'는 말이 있듯, 우리는 눈에 익숙한 사물에는 주목하지 않는다. 무의식중에 지나쳐버리고 마는 '죽은' 사물들. 예술에서는 이렇게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는 죽은 사물을 부활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낯설게 하기’ 방식이다.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의 ‘낯설게 하기’는 주위의 사물을 기괴한 형상으로 재창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또 다른 초현실주의 화가 마그리트는 이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죽은’사물을 살려내려 시도했다.


마그리트는 ‘낯설게 하기’의 소재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 사물들을 사용했다. 난로, 나무, 사과, 유리잔 등 우리가 흔히 보는 일상적 사물들을 낯설게 함으로써 그는 특유의 초현실주의적 효과를 얻어낸다.

옆의 그림은 마그리트의 ‘낯설게 하기’를 표현하는 ‘고립’의 방법이다. ‘고립’이란 어떠한 사물을 원래 있던 환경에서 떼어내 엉뚱한 곳에 갖다놓는 걸 말한다. 그림을 보라. 평범한 하늘이 보이는 방과 물고기 한 마리. 따로 떼어놓고 보면 어느 것 하나 낯선 사물이 없지만 천장을 향해 서있는 물고기 한 마리에서 오묘하고 신기한 분위기가 풍겨 나온다.


원목재가 깔려있고 빛이 잘 드는 방 한 칸과 커다란 풋사과가 있다. 역시 눈에 익지 않은 사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빛을 잘 받은 푸릇한 사과가 묘한 위압감을 풍긴다. 이 방법은 ‘크기의 변화’다. 이처럼 사물의 크기만 바꾸어 놓아도 이렇게 놀라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그리트는 유사의 방식을 취하지만 유사를 거부하면서 상사를 지향한다. 그의 작품에 ‘닮음’이 있다면 시뮬라크르들 사이의 닮음일 뿐이다. 마그리트의 작품은 시뮬라크르 놀이를 통해 우리에게 친숙한 사물이 은폐하고 있는 새로운 세계를 열어 보여준다.










  1.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Date2023.02.04 By風文 Views13786
    read more
  2. 친구야 너는 아니

    Date2015.08.20 By風文 Views103224
    read more
  3. 모든 것은 지나간다

    Date2007.10.10 By바람의종 Views6848
    Read More
  4. 정말 당신의 짐이 크고 무겁습니까?

    Date2007.10.10 By바람의종 Views18725
    Read More
  5. 인터넷 시대 ‘말과 글’의 기묘한 동거 by 진중권

    Date2007.10.05 By바람의종 Views9812
    Read More
  6. 천자문이 4언 250구로 된 한편의 시라고?

    Date2007.09.26 By바람의종 Views14768
    Read More
  7. 153세 냉동인간이 부활했다? - 냉동인간에 대하여

    Date2007.09.19 By바람의종 Views46840
    Read More
  8. 눈은 마음의 창

    Date2007.09.06 By바람의종 Views7610
    Read More
  9. 안중근은 의사(義士)인가, 테러리스트인가?

    Date2007.09.06 By바람의종 Views14968
    Read More
  10. 사람의 마음을 얻는다는 것

    Date2007.09.04 By바람의 소리 Views6903
    Read More
  11. 이런 인연으로 살면 안 될까요

    Date2007.09.03 By바람의 소리 Views10171
    Read More
  12. 지금 시작하고, 지금 사랑하자!

    Date2007.09.03 By바람의 소리 Views8143
    Read More
  13. 같이 커피를 마시고 싶은 사람

    Date2007.08.31 By바람의 소리 Views8870
    Read More
  14.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 맹자의 왕도정치를 통해!

    Date2007.08.30 By바람의종 Views13393
    Read More
  15. 물처럼 사는것이 현명한 삶이다

    Date2007.08.20 By바람의 소리 Views6899
    Read More
  16.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Date2007.08.15 By바람의종 Views46375
    Read More
  17. 행복과 불행은 쌍둥이 형제라고?

    Date2007.08.09 By바람의종 Views22471
    Read More
  18. 들꽃 나리

    Date2007.06.26 By. Views6756
    Read More
  19. 스스로 자기를 아프게 하지 말라

    Date2007.06.07 By바람의종 Views6673
    Read More
  20. 맑고 좋은 생각으로 여는 하루

    Date2007.06.05 By바람의종 Views6760
    Read More
  21. 어머니의 사재기

    Date2007.04.13 By바람의종 Views6766
    Read More
  22. 나그네

    Date2007.03.09 By바람의종 Views8274
    Read More
  23. 불을 켜면 사라지는 꿈과 이상, 김수영 「구슬픈 肉體」

    Date2007.03.09 By바람의종 Views11372
    Read More
  24. 중국 현대문학의 아버지 루쉰, 사실은 의사 지망생이었다?

    Date2007.02.28 By바람의종 Views11270
    Read More
  25. 방 안에 서있는 물고기 한 마리- 마그리트 ‘낯설게 하기’

    Date2007.02.08 By바람의종 Views15469
    Read More
  26. 연암 박지원의 황금에 대한 생각

    Date2007.02.01 By바람의종 Views8137
    Read More
  27. 세상에서 가장 슬픈건..

    Date2007.01.19 By風磬 Views1025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