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425 추천 수 2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 닭 보듯 한다'는 말이 있듯, 우리는 눈에 익숙한 사물에는 주목하지 않는다. 무의식중에 지나쳐버리고 마는 '죽은' 사물들. 예술에서는 이렇게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는 죽은 사물을 부활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낯설게 하기’ 방식이다. 러시아 형식주의자들의 ‘낯설게 하기’는 주위의 사물을 기괴한 형상으로 재창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하지만 또 다른 초현실주의 화가 마그리트는 이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죽은’사물을 살려내려 시도했다.


마그리트는 ‘낯설게 하기’의 소재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 사물들을 사용했다. 난로, 나무, 사과, 유리잔 등 우리가 흔히 보는 일상적 사물들을 낯설게 함으로써 그는 특유의 초현실주의적 효과를 얻어낸다.

옆의 그림은 마그리트의 ‘낯설게 하기’를 표현하는 ‘고립’의 방법이다. ‘고립’이란 어떠한 사물을 원래 있던 환경에서 떼어내 엉뚱한 곳에 갖다놓는 걸 말한다. 그림을 보라. 평범한 하늘이 보이는 방과 물고기 한 마리. 따로 떼어놓고 보면 어느 것 하나 낯선 사물이 없지만 천장을 향해 서있는 물고기 한 마리에서 오묘하고 신기한 분위기가 풍겨 나온다.


원목재가 깔려있고 빛이 잘 드는 방 한 칸과 커다란 풋사과가 있다. 역시 눈에 익지 않은 사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빛을 잘 받은 푸릇한 사과가 묘한 위압감을 풍긴다. 이 방법은 ‘크기의 변화’다. 이처럼 사물의 크기만 바꾸어 놓아도 이렇게 놀라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그리트는 유사의 방식을 취하지만 유사를 거부하면서 상사를 지향한다. 그의 작품에 ‘닮음’이 있다면 시뮬라크르들 사이의 닮음일 뿐이다. 마그리트의 작품은 시뮬라크르 놀이를 통해 우리에게 친숙한 사물이 은폐하고 있는 새로운 세계를 열어 보여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역대로 사람의 진정한 역사는 - 세종대왕 風文 2023.02.04 13101
공지 친구야 너는 아니 1 風文 2015.08.20 102483
3035 Love is... 風磬 2006.02.05 18104
3034 동시상영관에서의 한때 - 황병승 윤영환 2006.09.02 14895
3033 136명에서 142명쯤 - 김중혁 윤영환 2006.09.02 18412
3032 고통은 과감히 맞서서 해결하라 - 헤르만 헷세 風磬 2006.11.02 11352
3031 어느 한 가로수의 독백 - 우종영 風磬 2006.11.21 9379
3030 외로운 노인 - A. 슈티코프 風磬 2006.11.21 10372
3029 별똥 떨어져 그리운 그곳으로 - 유안진 風磬 2006.12.01 8318
3028 국화(Chrysanthemum) 호단 2006.12.19 9144
3027 세상을 보게 해주는 창문 호단 2007.01.09 7158
3026 석류(Pomegranate) 호단 2007.01.09 6069
3025 세상에서 가장 슬픈건.. 風磬 2007.01.19 10219
3024 연암 박지원의 황금에 대한 생각 바람의종 2007.02.01 8118
» 방 안에 서있는 물고기 한 마리- 마그리트 ‘낯설게 하기’ 바람의종 2007.02.08 15425
3022 중국 현대문학의 아버지 루쉰, 사실은 의사 지망생이었다? 바람의종 2007.02.28 11244
3021 불을 켜면 사라지는 꿈과 이상, 김수영 「구슬픈 肉體」 바람의종 2007.03.09 11310
3020 나그네 바람의종 2007.03.09 8252
3019 어머니의 사재기 바람의종 2007.04.13 6747
3018 맑고 좋은 생각으로 여는 하루 바람의종 2007.06.05 6742
3017 스스로 자기를 아프게 하지 말라 바람의종 2007.06.07 6656
3016 행복과 불행은 쌍둥이 형제라고? 바람의종 2007.08.09 22428
3015 ‘옵아트’ 앞에서 인간은 천진난만한 아이가 된다! 바람의종 2007.08.15 46287
3014 인간의 본성은 선한가, 악한가? - 맹자의 왕도정치를 통해! 바람의종 2007.08.30 13360
3013 안중근은 의사(義士)인가, 테러리스트인가? 바람의종 2007.09.06 14948
3012 눈은 마음의 창 바람의종 2007.09.06 7591
3011 153세 냉동인간이 부활했다? - 냉동인간에 대하여 바람의종 2007.09.19 468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22 Next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