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3 17:43

있다가, 이따가

조회 수 13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있다가, 이따가

요즘 약속은 대부분 문자로 이뤄진다. “그래, 그럼 이따가 거기서 만나.”라고 문자메시지를 친구에게 보낼 때 고개를 갸웃거린 경험이 다들 있을 것이다. ‘있다가’라고 써야 하나, ‘이따가’라고 써야 하나?

‘있다’라는 말이 있으니 ‘있다가’가 맞고, 소리 나는 대로 쓴 ‘이따가’는 틀린 표기일 거라고 짐작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있다가’와 ‘이따가’는 둘 다 맞는 표기다. 다만 뜻과 쓰임새가 다르므로 잘 구분해서 써야 한다.

‘있다가’는 ‘있다’의 어간 ‘있-’에 ‘먹다가, 자다가, 가다가’ 할 때의 ‘-다가’가 붙어서 된 말이다. ‘-다가’는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지속되지 못하고 바뀌게 되는 상황에 쓰이는 연결어미다. 따라서 동사나 형용사 어간에 ‘-다가’가 붙으면 앞의 동작이나 상황이 달라짐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가 따라 나오게 마련이다. 예를 들어 ‘먹다가’가 쓰이면 ‘먹다가 잠이 들었다’든가 ‘먹다가 말았다’처럼 먹던 상황이 지속되지 못하고 장면이 달라지는 상황을 나타내는 서술어가 뒤따르게 된다. 따라서 ‘있다가’는 ‘어떤 장소에 머무르거나 존재하다가’ 또는 ‘어떤 상태를 계속 유지하다가’ 등의 뜻을 나타내며 뒤에 장면의 전환을 나타내는 다른 서술어와 연결이 된다. ‘하루 종일 집에 있다가 저녁에 친구를 만나러 밖으로 나갔다.’든가 ‘음식을 삼키지 않고 입에 물고 있다가 뱉었다.’같이 쓰인다.

‘이따가’는 ‘시간이 조금 지난 뒤에’를 뜻하는 부사이다. 어원적으로는 ‘있다가’로부터 나왔지만, 본뜻인 ‘존재하다’로부터 뜻이 상당히 멀어졌다고 판단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하고 있다. ‘이따가 만나자’거나 ‘잠시 쉬었다가 이따가 다시 할게.’에서처럼 ‘잠시 후에’의 뜻을 나타낼 때 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8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61
3414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84
341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38
3412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71
3411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319
34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59
3409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88
3408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500
3407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114
3406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27
340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526
340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914
3403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044
340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204
3401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5
340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718
3399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7003
3398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200
3397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42
3396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604
3395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557
3394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239
3393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9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