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1 15:15

장녀, 외딸, 고명딸

조회 수 12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장녀, 외딸, 고명딸

엊그제 청첩장을 하나 받았다. 신부의 부모는 제 짝을 찾아 떠나는 딸이 대견하다면서도 아쉬움을 감추지 못했다. 그들에게 몇 마디 덕담을 건네고 돌아와 청첩장을 펴 보았다. 분명 일남일녀를 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신부는 ○○○의 ‘장녀’로 표시돼 있었다. 남동생이 있긴 하지만 하나뿐인 딸인데, 그럴 때도 장녀라는 말을 쓰나?

‘장녀’는 ‘큰딸, 맏딸’과 같은 말로 딸이 둘 이상 있을 때 그 중 맏이가 되는, 첫째 딸을 가리킨다. 이 말은 ‘차녀’, ‘삼녀’ 등과 상대적인 개념이어서 여동생이 있을 때만 쓸 수 있는 말이다. ‘장남’도 마찬가지로 외아들인 경우에는 쓰지 않고, 남동생이 있을 때만 쓴다. 그렇다고 청첩장에 ‘외딸, 외아들’이라고 쓰기는 꺼려진다. ‘표준언어예절’에서는 이런 경우에 그냥 ‘딸’이나 ‘아들’로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나뿐인 딸을 가리키는 말은 ‘외딸’ 또는 ‘외동딸’이다. 이 말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무남독녀, 즉 다른 형제나 자매가 없이 단 하나뿐인 딸을 가리킬 때도 있고, 남자 형제는 있지만 딸로서는 하나밖에 없을 때도 쓴다.

아들이 여럿 있는 집의 외딸은 특별히 ‘고명딸’이라고 한다. 어떤 지방에서는 ‘양념딸’이라고도 한다. 음식에 맛을 더하고 모양과 빛깔을 돋보이게 하는 고명처럼 여러 아들 사이에 예쁘게 얹혀 있어 더욱 사랑스러운 딸이라는 뜻이다. 언뜻 딸을 매우 귀히 여기는 말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다. 딸은 양념이나 고명처럼 구색 갖추기로 하나 정도만 끼어 있어야 좋다는 속뜻이 담겨있다. 반대로 딸이 여럿 있는 집의 외아들을 가리켜 ‘고명아들’이라고 하지 않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딸이 많을수록 좋다는 요즘 사람들에게는 격세지감을 느끼게 하는 표현이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21
3414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84
341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38
3412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68
3411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319
34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59
3409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88
3408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500
3407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114
3406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927
340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526
340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914
3403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044
340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204
3401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323
340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718
3399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7003
3398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200
3397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42
3396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604
3395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557
3394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239
3393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9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