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7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 부인’이 돼 달라고?

‘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되는 여자’, 즉 ‘아내’를 이르는 말에는 ‘안사람, 집사람, 처, 마누라, 부인’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가리키는 대상은 같지만 쓰임새가 조금씩 다르다.

‘아내’는 특별히 낮추거나 높이는 뜻이 없어 가장 편하게 쓸 수 있는 말이다. ‘처’는 20여년 전만 해도 흔히 쓰는 말이었지만 오늘날 젊은이들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팔순이 넘은 어느 노교수님 말씀에 따르면 이미 1960년대에도 ‘처’는 ‘머리를 쪽 찌고 치마저고리 입은’ 구식 아내를 연상케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자신의 아내를 ‘제 처’라고 하는 사람들에게서는 점잖고 예스러운 분위기가 느껴진다.

‘안사람, 집사람’은 아내를 남 앞에서 겸손하게 이르는 말이지만 아내의 역할이나 활동 공간을 집안에만 한정하는 듯하여 마땅찮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마누라’는 어느 정도 나이가 든, 적어도 중년 이상의 아내에게만 쓸 수 있는 말이다. 이 말에는 상대를 약간 낮잡는 느낌이 있다. 연세가 지긋한 분들이 자기 아내를 허물없이 가리킬 때 ‘마누라’를 흔히 쓴다. 이 말은 어떤 상황에서 쓰느냐에 따라 정답게 들리기도 하지만 때로는 아내를 함부로 대한다는 느낌을 줄 수 있으므로 가려 쓰는 게 좋겠다. 오랜 세월을 함께한 나이든 아내를 함부로 대했다간 노후가 편치 않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부인’은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이므로 자기 아내에 대해서는 쓰지 않는다. 우리말에서는 나와 가까운 사람을 남 앞에서 높이지 않는 것이 올바른 언어 예절이다. 아내를 존중해 주는 것은 좋지만 ‘우리 부인’ ‘내 부인’ 등으로 쓰는 것은 잘못이다. ‘청혼가’라는 가요의 노랫말에 ‘네가 나의 부인이 돼줬으면 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때 ‘나의 부인’도 ‘나의 아내’로 해야 맞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03
3370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938
3369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618
3368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743
3367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6028
3366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960
3365 깍두기 바람의종 2007.12.23 6843
3364 된장녀 바람의종 2007.12.24 7037
3363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492
3362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685
3361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6272
3360 벵갈말 바람의종 2007.12.27 6766
3359 알바 바람의종 2007.12.27 7737
3358 막바로 바람의종 2007.12.28 8424
3357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538
3356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540
3355 다르다와 틀리다 바람의종 2007.12.29 7384
3354 꽈리 바람의종 2007.12.30 10892
3353 교육과 새말 바람의종 2007.12.30 7028
3352 체로키 글자 바람의종 2007.12.31 6474
3351 억수 바람의종 2007.12.31 6967
3350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501
3349 메뚜기 바람의종 2008.01.02 67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