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10.17 11:25

뭘로 / 뭐로

조회 수 1273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뭘로 / 뭐로

분위기 있는 음식점에서 친구와 맛있는 점심을 먹었다. 식사 뒤 김 아무개가 계산을 하려고 식당 계산대에서 주문서를 내밀었다. 계산대의 종업원 왈, “손님, 현금이나 신용카드 중 뭘로 결제하시겠어요?”
 또 하나. 길거리나 술집에서 시비가 붙었을 때 처음에는 점잖은 말로 대화하다 서로 간에 상스러운 말들이 오고 간다. 점점 격해지다가 결정적인 무시를 당한 듯한 느낌을 받은 쪽에서 터져 나오는 말. “아니, 이 양반이 도대체 사람을 뭘로 보고!”

 두 예문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뭘로’를 살펴보자. 우선 ‘뭘’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무엇을’이 줄어든 말이라고 나온다. “저녁으로 뭘 좀 먹긴 먹어야 할 텐데”처럼 쓰인다. 그래서 ‘뭘로’로 쓰면 틀리게 된다. ‘무엇을로’가 되기 때문이다.

 ‘뭘로’는 ‘뭐로’로 고쳐야 예문의 뜻이 통한다. ‘뭐로’라고 해야 ‘무엇으로’라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뭐’는 ‘무엇’ 또는 ‘무어’의 준말이다. “뭐라고 대답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뭐가 뭔지 도통 알 수가 없다”처럼 사용된다.

 입말투에서는 ‘뭐로’보다 ‘뭘로’가 발음하기 쉽다. 하지만 글로 쓸 때는 ‘뭘로’가 아니라 ‘뭐로’로 적어야 바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59
2974 맞벌이, 외벌이, 홑벌이 바람의종 2012.11.23 24281
2973 충돌과 추돌 바람의종 2012.11.22 13763
2972 일절과 일체 바람의종 2012.11.21 15235
2971 불식과 척결 바람의종 2012.11.14 11224
2970 조리다, 졸이다 바람의종 2012.11.06 15338
2969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바람의종 2012.11.06 40713
2968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12
2967 龜의 독음 바람의종 2012.11.05 8621
2966 씁쓰레하다, 씁쓸해하다 바람의종 2012.11.02 8847
2965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49
2964 하릴없이, 할 일 없이 바람의종 2012.10.30 13316
» 뭘로 / 뭐로 바람의종 2012.10.17 12739
2962 그분이요? / 그분이오? 바람의종 2012.10.17 9119
2961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2.10.15 10537
2960 응큼하다 바람의종 2012.10.09 13361
2959 진면목 바람의종 2012.10.09 10314
2958 이었다, 이였다 바람의종 2012.10.08 30115
2957 전년도, 회계연도 바람의종 2012.10.08 12385
2956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6928
2955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12.10.04 8743
2954 팔염치, 파렴치 / 몰염치, 염치, 렴치 바람의종 2012.10.02 15986
2953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4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