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1.11.10 13:13

暴 (포와 폭)

조회 수 1523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暴 (포와 폭)

'暴'는 '포'와 '폭'으로 읽힌다. 궁금한 점은 어떤 때 '포'로 읽고, 어떤 때 '폭'으로 읽느냐다.

"조선조 제10대 왕 연산군(燕山君)은 무오사화. 갑자사화를 일으켜 많은 선비들을 죽였으며, 폭군(暴君)으로 지탄받은 임금이다." "아버지는 자기 아들을 때린, 아들의 친구를 보자마자 난폭(亂暴)하게 주먹을 휘둘렀다." "교도소 재소자들이 폭동(暴動)을 일으켰다."

"포악(暴惡)한 군주 밑에서 백성들의 고통은 날이 갈수록 더해 갔다." "권력을 잡은 자가 횡포(橫暴)를 부리면 국민의 고통은 끝이 없는 것이오." "일본의 지배가 워낙 야만적이고 흉포(凶暴)했으므로, 조선의 백성뿐만 아니라 전통문화는 특히 더 큰 손상을 입었다."

"국제유가 폭등(暴騰)은 세계 자본주의 경제 구조에 일대 혼란을 야기했다." "우리는 어젯밤 폭음(暴飮)함으로써 분을 삭일 수밖에 없었다." "간밤에 내린 폭설(暴雪)로 교통이 두절된 곳이 생겼다."

'暴'의 음과 훈은 '사나울 포/폭, 햇빛 쬘 폭'이다. 그 뜻을 자전에서 찾아보면 '사납다(포) ; 모질다, 모질게 굴다(포) ; 쬐다(폭) ; 나타내다(폭) ; 갑자기, 급작스럽게(폭)' 등으로 나와 있다. '暴'는 폭군(暴君).폭도(暴徒).폭력(暴力).폭행(暴行).난폭(亂暴) 등 물리적인 힘을 불법적으로 사용할 경우 '폭'으로, 포리(暴吏).포악(暴惡).포학(暴虐).광포(狂暴).횡포(橫暴).흉포(凶暴)처럼 거칠고 사나운 성격 또는 사람을 해치거나 모질게 구는 기질을 뜻하는 단어에서는 '포'로, 폭등(暴騰).폭락(暴落).폭음(暴飮).폭우(暴雨)처럼 급작스러운 변화를 뜻하는 낱말에서는 '폭'으로 소리 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5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0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949
752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09
751 끼치다와 미치다 바람의종 2011.05.01 12710
750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15
749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44
748 쉐보레 유감 바람의종 2011.10.25 10151
747 니, 네 바람의종 2011.10.25 8944
746 은폐, 은닉 바람의종 2011.10.25 10760
745 륙, 육 바람의종 2011.10.27 12323
744 방금 바람의종 2011.10.27 8770
743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19
742 면면이, 면면히 바람의종 2011.10.27 10858
741 공공칠 바람의종 2011.11.10 10956
740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762
»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234
738 푸르름 바람의종 2011.11.10 9125
737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843
736 사리 바람의종 2011.11.11 9832
735 억지조어 바람의종 2011.11.11 7774
734 쌍둥밤 / 쌍동밤 바람의종 2011.11.11 9507
733 디엠제트 바람의종 2011.11.13 11706
732 정보무늬 바람의종 2011.11.13 12410
731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