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687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첫눈이 오는 날 다시 만나요." 이렇듯 겨울 사랑은 첫눈과 함께 온다. 아침부터 잿빛으로 잔뜩 찌푸린 하늘을 보니 금세라도 눈이 '①내릴듯 하다/ ②내릴 듯하다/ ③내릴듯하다'.

 앞글에서 ① ② ③의 띄어쓰기 중 어느 것이 맞을까? 정답은 ①은 틀리고 ②와 ③은 맞다. 이렇듯 '듯'과 '하다'가 연결된 말은 띄어쓰기를 할 때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듯'과 '하다'가 결합하는 형태는 '듯'이 어간 다음에 바로 오는 경우("변덕이 죽 끓듯 하다/ 그는 그 많은 돈을 떡 주무르듯 한다")와 관형사형 다음에 오는 경우("오늘은 좋은 일이 있을 듯하다/ 기차가 연착할 듯하다")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의 경우는 어미 '-듯'과 동사 '하다'로 나누어지는 구조다. 이때의 '-듯'은 '-듯이'의 준말로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의 '가듯'과 같이 어간에 바로 결합한다. 그러므로 '끓듯 하다'처럼 띄어 쓴다. 반면 두 번째의 '듯하다'는 전체가 보조용언이다. 보조용언은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쓸 수도 있다. 그러므로 '있을 듯하다/있을듯하다' 둘 다 가능하다. 이처럼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는 앞말이 언제나 관형형이다.

 간단히 요약하면, 앞말이 어간이면 '-듯'이 어미이므로 '하다'와 띄어 쓰고, 관형형이면 '듯하다' 전체가 보조용언이므로 붙여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9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27
3304 바이러스 바람의종 2012.12.04 17408
3303 부딪치다와 부딪히다 바람의종 2010.12.19 17327
3302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280
3301 웅숭깊다 바람의종 2007.03.03 17269
3300 좀체로, 의례적 바람의종 2008.12.15 17145
3299 붙이다, 부치다 바람의종 2012.09.06 17142
3298 나리 風磬 2006.10.10 17085
3297 마다 않고, 아랑곳 않고 바람의종 2012.10.05 17083
3296 성숙해지다, 주춤해지다, 팽배해지다, 만연해지다 바람의종 2010.11.26 17028
3295 으뜸, 버금, 맞먹다, 필적하다 바람의종 2008.09.19 17011
3294 놀라다 / 놀래다 바람의종 2010.07.26 16944
3293 망둥어, 망둑어 / 간재미, 간자미 바람의종 2010.05.30 16942
3292 받히다, 받치다, 밭치다 바람의종 2012.07.04 16881
»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바람의종 2010.10.14 16877
3290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802
3289 맞고요, 맞구요 風磬 2006.09.09 16785
3288 알맞는, 알맞은 /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12.09.11 16782
3287 이골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27 16778
3286 옷걸이 / 옷거리 / 옷맵시가 좋다 바람의종 2010.11.10 16737
3285 재다, 메우다, 메기다 바람의종 2010.04.25 16698
328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696
3283 마가 끼다 바람의종 2008.01.05 166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