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7.19 13:40

한글

조회 수 863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글

‘한글’은 조선조 세종 시대에 만들어져 지금까지 쓰이고 있는 우리 글자의 이름이다. 세종 시대에 처음 이 글을 반포할 때는 ‘훈민정음’이라 했다. 그러나 조선 사회의 사대부들은 한글을 쓰는 것을 꺼린 나머지 이를 업신여겨 언문, 암글이라 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통싯글이라 부르기도 했으니 조선 시대의 한글은 사람으로 치면 천민이나 다름없었다. 조선 말에 이르러 우리글에 ‘한글’이란 이름을 붙인 이는 주시경 선생이다.

“우리가 한글보다 과학성이 뒤떨어진 영어를 배우는 이유는 폭넓고 수준 높은 지식, 즉 콘텐츠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한글 경쟁력을 높이는 번역’이라는 제목의 신문 칼럼에서 잘라온 구절이다. 칼럼에서는 한글과 영어를 대비시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한글과 영어는 비교 대상이 아니다. 한글은 글자이고 영어는 언어이기 때문이다. 한글의 비교 대상은 알파벳이고, 영어의 비교 대상은 한국어이다.

‘한글’을 ‘한국어’와 동일시하는 경우를 더러 볼 수 있다. 잘못된 일이다. 이런 잘못은 한글 전용이냐 한자 혼용이냐 하는 글자 사용 논쟁을 순우리말 사용이냐 한자어 사용이냐 하는 어휘 사용 논쟁과 뒤섞어 버림으로써 논쟁의 초점을 흐리기도 한다.

설령 ‘한글’을 ‘한국어’와 같은 의미로 썼다고 하더라도 납득할 수 없다. 영어가 한국어보다 과학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에 동의할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한글이 세계 최고의 문자라는 데는 동의하지만, 한국어가 영어보다 뛰어난 언어라는 데는 고개가 저어진다.

우재욱/시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21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67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615
180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23
17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216
178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876
177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1935
176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651
175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494
174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435
17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69
»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33
171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170
170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311
169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656
168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634
16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58
16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304
165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044
16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11
163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156
162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525
161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470
160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090
159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3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