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6.09 23:39

흥정

조회 수 990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흥정

언어예절

말로 하는 일에 흥정 아닌 게 드물다. 집안·사회 두루 사람 관계가 그러하며, 회사·나랏일도 대체로 이로써 이뤄지고 발전한다. 이를 격식화한 것이 약속, 곧 법·기준이다. 그것도 바뀔 수 있으므로 임시방편이다. 그러니 공사간에 늘 새로운 흥정이 이뤄지기 마련이다.

“흥정도 부조다” “흥정은 붙이고 싸움은 말리랬다”는 흥정을 좋게 여기는 속담들이다. 하지만 우리는 흥정을 ‘물건 값을 덜 주고 더 받으려는 수작’, ‘제 이익을 좀더 보려는 짓거리’로 좁히거나 낮잡아 쓰는 편이다. 이런 생각이나 풍토는 말을 가난하게 한다. 말의 가난은 그 말겨레의 정신을 가난하게 한다.

‘거래·협상·회담·상담·교섭·중개·수작 …’ 행위들을 싸잡아 ‘흥정’으로 일컫지 못할 게 없다.

흥정만큼이나 ‘장사’도 낮잡히는 경향이 있다. 사·농·공·상 차별이 사라진 자본주의 세상에서 ‘장사·흥정’을 값싸게 여기는 풍토를 어떻게 봐야 할까? 무슨 일자리 나누기와는 다른 결과를 부른다. 장사·흥정 자리는 ‘비즈니스·바겐·마케팅·로비 …’ 따위에 많이 내주었다.

“정치적 흥정, 흥정거리, 흥정 대상, 장물 흥정, 더런 흥정, 총선용 흥정 ….” 그 앞에 고깔을 씌워서라도 흥정을 써먹는 걸 보면 쓸모가 증명된다. 흥정에는 본디 거간·중개·변호·외교·조정·협상 따위 온갖 갈래가 있다. 관련된 학문 분야도 여럿이다. 이를 뭉뚱그리면 ‘흥정학·거래학’이 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7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2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145
26 '-적' 없애야 말 된다 (14) 종합적 바람의종 2008.03.08 12371
25 '-시키다’ 風文 2023.12.22 1209
24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285
23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881
2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926
21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98
20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343
19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159
18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353
17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781
16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543
15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205
14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183
13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513
12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461
11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023
10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879
9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207
8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401
7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7884
6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115
5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6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