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31 15:11

흙성과 가린여흘

조회 수 11108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흙성과 가린여흘

땅이름

용비어천가는 세종 임금이 훈민정음을 창제하면서 새 글자의 실용 가능성을 실험함과 동시에 조선 왕조의 개국을 정당화하고자 정인지·최항 등에게 일러 편찬하도록 한 노래다. 이 노래에는 조선 왕조를 열기까지의 6대조 역사가 기록됐는데, 그 가운데 땅이름과 관련하여 흥미로운 기사가 많이 남아 있다.

제9장은 “하늘의 뜻을 받들어 도적을 토벌하실새 사방의 제후들이 모이더니 성스러운 덕화가 오래되어 서방 오랑캐도 또 모이니, 의를 내세워 군사를 거느릴새 천리 인민이 모이더니 성스러운 덕화가 기프셔서 북쪽 오랑캐들이 또 모이니”라는 노래는 태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관련된 노래다.

이 노래에는 위화도에서 돌아오는 군대가 지나간 땅이름이 나타나는데, 회군하는 군사들이 안주, 자주, 이성(흙성), 평양, 중화군, 기탄(가린여흘)에 이르기까지 백성들의 환영을 받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진군하였다고 한다. 이 기록에서 이성(泥城)은 ‘흙성’, 기탄(岐灘)은 ‘가린여흘’이라는 한글로 표기하였다. 이처럼 용비어천가 곳곳에는 토박이말과 한자어의 대응관계를 한글을 사용하여 나타낸 경우가 많다.

‘가린여흘’을 ‘기탄’으로 옮긴 것은 ‘가린’이 ‘가르다’에 해당하는 ‘가ㄹㆍ다’에서 비롯된 말이므로 둘 이상의 물줄기가 합쳐지는 곳임을 짐작게 한다. 이처럼 ‘가린’이 들어가는 땅이름은 ‘가늘다’는 뜻을 지닌 경우와 ‘가르다’의 뜻을 지닌 경우가 있다. ‘강’을 뜻하는 ‘가ㄹㆍㅁ’이 ‘가르다’와 관련이 있음은 널리 알려진 것과 같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83
26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865
25 언어 경찰 風文 2021.09.02 850
24 선교와 압박 風文 2021.09.05 838
23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38
22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25
21 또 다른 이름 風文 2021.09.05 817
20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790
19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784
18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54
17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746
16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738
1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31
14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24
13 또 다른 공용어 風文 2021.09.07 717
12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15
11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709
10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678
9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650
8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598
7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547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526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4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