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8

갑작힘

조회 수 8179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갑작힘

북녘말

“큰 고기가 물렸다고 덤비면서 갑작힘을 주면 물고기는 낚시끝에 찢긴 제코를 남겨놓고 도망친다우.”(장편소설 <참대는 불에 타도>)

갑작힘은 ‘갑자기 쓰는 힘’이다. ‘갑작’은 ‘갑작스럽다’에서 확인되는데, ‘갑작’에 대한 남북의 견해가 다르다. 남녘에서는 어근으로 보고, 북녘에서는 부사로 본다. 부사 ‘갑자기’의 준말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의 어근은 자립하지 못하는 어근을 말한다. 어근을 ‘자립 어근’과 ‘비자립 어근’으로 나눌 수 있고, 여기서는 ‘비자립 어근’을 가리킨다.

북녘말에서도 용언을 꾸미는 말로 ‘갑작’을 쓰는 일은 드문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 보기가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북녘말에서 ‘갑작’은 주로 명사나 명사형과 결합하여 낱말을 만드는 기능을 한다. 이를 고려하면, ‘갑작’은 ‘낱말을 만드는 어근’(단어 형성 어근)일 것으로 생각된다. ‘갑작’이 결합된 말로, 갑작달리기(급출발), 갑작바람(돌풍), 갑작변이(돌연변이), 갑작부자(벼락부자), 갑작비(갑자기 내리는 비), 갑작수(갑자기 꾸며 낸 수), 갑작죽음(돌연사), 갑작출세(벼락출세) 등이 있다. 이들 낱말은 대부분 ‘다듬은 말’로, 실제 북녘말에서 정착했는지는 알 수 없다. 익숙하지는 않지만, ‘갑작’과 ‘갑자기’가 같은 뜻이라는 사실만 알면 이들 낱말을 이해하는 데 별 문제가 없다.

최근 남쪽에 ‘급인사·급유행·급칭찬’처럼 접두사 ‘급-’을 붙여 말을 만드는 걸 본다. 접두사 ‘급-’은 1음절인 낱말과 결합하거나 고유어와 결합하면 어색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갑작’을 활용해 보는 것도 좋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7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78
334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90
333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83
332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19
331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42
330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949
329 갑질 風文 2024.03.27 1698
328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324
327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703
»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79
325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74
324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495
323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749
322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631
321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116
320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616
319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08
318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136
317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90
316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717
315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59
314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230
313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80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