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7

어버이

조회 수 772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어버이

자신을 ‘아버지!’ ‘어머니!’라고 부르는 아들딸을 둔 ‘어미·아비’가 얼마나 될까? 글말로는 흔히 쓰지만, 현실에서는 아이들 말로 ‘엄마!’ ‘아빠!’로 불리고, 그 아들딸들이 어른이 되고서야 ‘아버지·어머니’ 하는 호칭을 이따금 듣는 형편이다. 요즘 들어 아이들 앞에서 자신을, 어른들끼리 이야기할 때도 자신과 상대를 ‘아빠·엄마’로 일컫거나 부르기까지 하는데, 이는 아이말을 따르는 꼴인데다 제 어미·아비를 욕먹이는 셈이 된다.

할아버지·할머니도 ‘할배·할매’가 아이 말, 친근한 말로 쓰인다. 손주 앞에서는 자신을 ‘할아비·할미’라고 하는데, 할아버지·할머니, 할배·할매는 부르는 쪽의 말인 까닭이다. 아비/애비·아범, 어미/에미·어멈, 할아비/할애비·할아범, 할미·할멈을 보면 사람 따라 경우 따라 마땅한 말을 골라 쓰도록 우리말이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버지·어머니를 ‘아바쌔·아바씨·아바이·아배·아버니·아버이·아베·아부니·아부씨·아부이·아부재·아부제·아부지·아브이 …/ 어마·어마니·어마씨·어마에·어마이·어매·어머이·어메·어메이·어멤·어무니·어무이·오만·오매·오메·옴마 …’들로 부르는데, 고장이나 집안·사람 따라 조금씩 다른 게 재미있다.

‘아버지·어머니’는 인류 공통어에 가깝기도 해서, 부탄·몽골·중국·스리랑카 등에서도 아빠를 ‘아빠/아버/아바’처럼 말한다. 아람말(옛히브리어)로도 아버지를 ‘아바’로 불렀다는데, 이는 하느님을 일컫기도 한다. 그러고 보면 ‘하느님 아버지’나 ‘어버이 수령’이 그렇게 낯선 표현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36
3194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18
3193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18
3192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23
3191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23
3190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24
3189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324
3188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25
3187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325
3186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25
3185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26
3184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29
3183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329
3182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332
3181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335
3180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336
3179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36
3178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37
3177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339
3176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42
3175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343
3174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345
3173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3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