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8 01:50

입뇌리·물퉁게

조회 수 1018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입뇌리·물퉁게

몸이 피곤하면 입술 주위에 물집이 생길 때가 있다. 이 물집을 ‘구순포진’(口脣疱疹)이라고 한다. 참 어려운 말인데, 바로 ‘입술 물집’이다. 한 낱말로 붙여서 쓸 수도 있겠으나 아직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런데 ‘입술 물집’에 해당되는 남녘말로 ‘입치리’, 북녘말로 ‘입뇌리·물퉁게’가 있다. ‘입술물집’은 두 낱말이 연결되어 한 낱말로 쓰기에 좀 이상하다면, 이들 말을 써 보면 어떨까?

‘입치리·입뇌리·물퉁게’의 원인은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알려졌다. ‘헤르페스’(herpes)라는 말은 라틴어에서 온 영어인데 ‘포진, 물집’을 뜻한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물집균’이라고 하겠다. ‘바이러스’는 워낙 익숙하기 때문에 ‘균’으로 바꾸기 곤란하다면, ‘물집 바이러스’라고 할 수도 있겠다. ‘물집균’은 치료된 뒤에도 감각 신경에 남아 있다가 몸의 면역 기능이 떨어지면 활동을 시작해 물집을 만든다고 한다.

입술 주변이 아닌 가슴이나 등에 물집이 생기기도 하는데, 이를 ‘대상포진’이라고 한다. ‘대상’(帶狀)은 ‘띠 모양’을 뜻한다. 그러니 ‘대상포진’은 ‘띠처럼 물집이 여럿 난 것’을 말한다.

좀 다른 이야기지만, ‘지석묘’(支石墓)를 ‘고인돌’로 바꾸었는데, 고인돌이 ‘돌로 돌을 고였다’는 뜻으로 ‘고이다, 괴다’와 관계가 있다는 것만 알면, 욀 필요도 없고 이해하기 쉽다. 이렇게 익숙지 않은 말을 쉬운 말로 고쳐서 쓰는 노력이 필요하다. 익숙하지 않은 한자어와 외국어를 섞어서 씀으로써 얻는 이득이 적은 까닭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47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11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6334
266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366
265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794
264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468
263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841
262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00
261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143
260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461
259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350
258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645
257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7960
256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496
255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424
254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657
253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440
252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270
»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180
250 바람의종 2008.03.18 6574
249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6931
248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131
247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564
246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35
245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