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6 20:54

촌수

조회 수 843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촌수

갈라져 나온 곁쪽(방계)과 피마디를 따질 때 쓰는 말이 촌수다. 직계 위아래는 촌수 아닌 대수로 따진다. 방계는 애초 한집안이었다가 딴살림을 차려 새 집안을 이룬다. 가야·백제·신라·고구려가 맞서던 서기 500년대에 산 어른을 시조로 모신 집안이라면 한 세대를 30년으로 잡아 50대 남짓에다, 그 아들이 여럿이라면 지금까지 갈라진 촌수가 100촌 안팎일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어미와 지아비는 무촌이고, 아비와 아들딸 또는 어미와 아들딸 사이가 1촌, 형제자매 사이가 2촌이다.

가까운 촌수라면 ‘삼·사·오·육·칠·팔·구·십’촌 정도인데, 두루 걸림말이 있다. 그 씨앗은 종(從·때론 당)이고, ‘재(再)·삼(三)·사(四)’를 앞에, ‘조(祖)·숙(叔)·형·제 …’를 뒤에 두어 관계를 구분한다. ‘종’ 앞에 ‘고(姑)·외(外)·이(姨)’를 둔 말이 고종·외종 들이다.

요즘 어른아이 할 것 없이 촌수말을 부름말이나 걸림말로 쓰는 사람이 적잖다. 특히 ‘삼촌’을 부름말로, ‘사촌’을 걸림말로 쓰는 경향이 그렇다. 아저씨나 친근하게 아재·외아재(외숙)로, ○○아버지(백·숙), 형님·아우( 종형·종제)로 할 것을 촌수로 부르고 일컫는 사람을 어른들은 난 데 없고 본 데 없다고 했다. ‘ 삼촌!’이란다면 ‘세 치야!, 세 마디야!’가 되고, 그 촌수에 드는 이만도 종조·백·숙·조카 등 위아래로 여럿인 까닭이다. ‘사촌’도 ‘종형제/동당형제, 내종/고종·외종·이종’처럼 걸림말을 갖추고 있으나 쉬운말은 아닌 게 문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3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40
3194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17
3193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18
3192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19
3191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23
3190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24
3189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24
3188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324
3187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25
3186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325
318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25
3184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327
3183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328
3182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29
3181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330
318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333
3179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33
3178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335
3177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336
3176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37
3175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339
3174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340
3173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3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