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3 12:30

수진이 고개

조회 수 983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진이 고개

성남시 수진동은 ‘궁말’, 또는 ‘궁촌’이라고도 했다.〈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에는 세종의 일곱째 아들인 평원대군의 묘를 관리하는 수진궁이 있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풀이한 바 있다. 그런데 수진동은 ‘수진’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민요 ‘남원산성’의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 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진’, ‘날진’(나진, 난친), ‘보라매’는 모두 매의 이름들이다. 사역원에서 간행한〈몽어유해〉에는 ‘해동청’(海東靑)을 ‘숑홀’이라고 기록한 바 있는데, 해동청은 오늘날의 ‘송골매’다.

이처럼 땅이름에 매의 이름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은 고려시대에 원나라와의 교류 과정에서 원의 매사냥 문화가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어떤 말들은 완전히 우리말처럼 쓰여 몽골어에서 온 것인지조차 알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예를 들어 ‘시치미’는 매의 주인을 밝히고자 이름과 주소를 적어 매 꽁지에 붙인 네모진 뿔을 일컫는 말이었다. 달아난 매를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기로 작정하고 시치미를 떼는 행위에서 ‘시치미 떼다’라는 관용어가 나오기도 하였다.

이청준의 ‘매잡이’에서 사라져 가는 매잡이의 전통을 지키려는 곽돌 영감의 몸부림이 묘사되어 있듯이 오늘날은 매도 멸종 위기에 놓였다고 하니, 그나마 땅이름 속에서 매가 오래도록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00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51
3216 빛깔말 바람의종 2008.02.28 7096
3215 동남아 언어 바람의종 2008.02.29 7508
3214 새라새롭다 바람의종 2008.02.29 9450
3213 밑과 아래 바람의종 2008.03.01 7506
3212 괭이눈 바람의종 2008.03.01 6530
3211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480
3210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바람의종 2008.03.04 12492
3209 여우잠 바람의종 2008.03.04 10061
3208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43
3207 깽깽이풀 바람의종 2008.03.06 7340
3206 도내와 섬안 바람의종 2008.03.07 6367
3205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606
3204 넋살탕 바람의종 2008.03.07 9124
3203 사위질빵 바람의종 2008.03.10 5643
3202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948
3201 은방울꽃 바람의종 2008.03.12 7131
3200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162
3199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595
»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838
3197 얼음보숭이·에스키모 바람의종 2008.03.14 9079
3196 파리지옥풀 바람의종 2008.03.15 9025
3195 전농동과 설렁탕 바람의종 2008.03.15 88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