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7 01:21

맑다와 밝다

조회 수 681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맑다와 밝다

‘맑다’는 ‘흐리다’와 서로 짝을 이루어 맞서고, ‘밝다’는 ‘어둡다’와 서로 짝을 이루어 맞선다. 그러면서 ‘맑다’와 ‘흐리다’는 하늘이 만든 사물과 사람이 만든 사실에 쓰는 그림씨 낱말이고, ‘밝다’와 ‘어둡다’는 하늘이 만들었거나 사람이 만들었거나 따질 것 없이 빛살에 말미암아 쓰는 그림씨 낱말이다.

샘물이 맑거나 흐리고, 하늘이 맑거나 흐리고, 단풍 빛깔이 맑거나 흐리고, 공기가 맑거나 흐리거나 하는 것은 하늘이 만든 사물을 두고 쓰는 보기다. 그리고 마음이 맑거나 흐리고, 목소리가 맑거나 흐리고, 생각이 맑거나 흐리고, 살림살이가 맑거나 흐리다고 하는 것은 사람이 만든 사실을 두고 쓰는 보기다.

한편, 새벽이 되면 동녘이 밝아오고 저녁이 되면 산그늘이 내리면서 세상이 어두워진다고 하는 것은 하늘이 만든 해의 빛살에 말미암아 쓰는 보기이며, 보름에 가까워지면 밤이 휘영청 밝아지고 그믐에 가까워지면 밤이 깜깜하게 어두워진다고 하는 것은 하늘이 만든 달의 빛살에 따라 쓰는 보기다. 그리고 등불이 밝거나 어둡고, 횃불이 밝거나 어둡고, 옷감의 빛깔이 밝거나 어둡고, 그림의 물감이 밝거나 어두운 것은 사람이 만든 빛살에 따라 쓰는 보기다. 거기서부터 ‘밝다’와 ‘어둡다’는 빛살로 말미암아 빚어지는 사람살이에까지 쓰임새가 널리 퍼져 나왔다. 눈이 밝거나 어둡고, 귀가 밝거나 어둡고, 사리가 밝거나 어둡고, 예의가 밝거나 어둡고, 물정에 밝거나 어두운 것들이 모두 그런 보기들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09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5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24
3238 끌끌하다 바람의종 2008.02.16 9706
3237 굿 바람의종 2008.02.17 7957
3236 호태왕비 바람의종 2008.02.17 8982
3235 라틴아메리카 언어 바람의종 2008.02.18 9510
3234 남새 바람의종 2008.02.18 6641
3233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267
3232 원추리 바람의종 2008.02.19 6196
3231 엄리대수와 아시 바람의종 2008.02.20 8206
3230 아메리카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8.02.20 7974
3229 쓰겁다 바람의종 2008.02.20 11065
3228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07
3227 애기똥풀 바람의종 2008.02.21 6099
3226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771
3225 오스트로네시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22 8318
3224 누겁다/ 서겁다 바람의종 2008.02.22 7081
3223 뜰과 마당 바람의종 2008.02.23 7490
3222 꽃다지 바람의종 2008.02.23 7794
3221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213
3220 중국의 언어 바람의종 2008.02.24 10377
3219 재개비 바람의종 2008.02.25 7116
» 맑다와 밝다 바람의종 2008.02.27 6817
3217 이팝나무 바람의종 2008.02.27 113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