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6 13:58

남산 신성비

조회 수 91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남산 신성비

‘경주 남산 신성비’는 6세기 말께 경주 남산에 성을 쌓으면서 기록한 비문이다. 이 비문은 1934년 제1 비를 시작으로 모두 아홉 개가 발견됐는데, 축성과 관련된 이두문과 축성인이 적혀 있다. 이 이두문은 “신해년 2월26일 남산 신성을 지을 때, 법대로 지은 지 3년에 붕파된 것은 죄를 줄 일로 삼아 교지에 따라 맹서하는 일”로 시작된다. 축성 관련자 이름에는 직책과 출신지가 기록된다. 예컨대 ‘아량라두 사훼 음내고 대사’(阿良旅 沙喙 音內古 大舍)는 “아량촌 순시관(라두)은 사훼부의 음내고(인명) 대사(직함)”로 풀이할 수 있다. 여기서 ‘아량’은 〈삼국사기〉지리지에 나오는 ‘아시량’인데, 법흥왕 때 신라에 통합되었다. ‘아시량’은 이두식으로 풀면 ‘아래’가 되며, 우리말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으로 보면 ‘아시’가 된다. ‘아시’는 ‘어시’, 곧 ‘어이’나 ‘엇’이 되니 ‘어머니’를 뜻하는 말로도 볼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기록된 역사적 사실이 금석문을 통해 증명될 때가 많다는 점이다. 얼마 전 한 일본 학자가 독도 문제를 거론한 적이 있다. 그는 “한국 사람은 모두 독도가 한국땅이라고 알고 있다. 그렇지만 그것을 논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일본 사람은 20%만이 독도가 일본땅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20%의 일본인은 그것을 매우 논리적으로 설명한다”라고 하였다. 역사 기록과 발굴 유적을 두루 살피는 일은, 우리의 말글, 역사를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1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64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634
3260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43
3259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243
3258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243
3257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46
3256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47
3255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50
3254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251
3253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51
3252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53
3251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54
3250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54
3249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55
3248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56
3247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56
3246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57
3245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57
3244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58
3243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58
3242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60
3241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260
3240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63
3239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2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