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1 09:56

노박비

조회 수 835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박비

‘노박비’는 ‘순간도 끊어지지 않고 줄곧 내리는 비’를 말한다. ‘노박’은 무슨 말일까? 남북이 같이 쓰는 말로 ‘노박이로’가 있는데, ‘줄곧 계속적으로’란 뜻이다. 북녘에서는 ‘노박’을 ‘노박이로’와 같은 뜻으로 쓴다.

“노박비를 맞다.”(조선말대사전)
“아사녀도 팽개와 싹불이가 인제 노박이로 와 있다는 말에 마음이 얼마나 든든한지 몰랐다.”(현진건·무영탑)
“아무리 젖은 몸이지만 비를 노박 맞는다는것은 기분 좋은 일이 못된다.”(조선말대사전)

‘노박’은 남녘에서 쓰이지 않을까? 그렇지 않다. 21세기 세종계획 ‘방언 검색 프로그램’을 보면, 강원도에서 쓰이고 있고, <우리말큰사전>에도 북녘말과 같은 뜻으로 실렸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노박’은 없지만 충청도 방언 ‘노박이’가 있다. ‘한곳에 붙박이로 있는 사람’의 뜻이다. ‘노박이’는 ‘노박-이’나 ‘노-박-이’로 볼 수 있다. ‘노’는 ‘노상’의 줄임말, ‘박’은 ‘박히다’의 어간, ‘-이’는 사람을 나타내는 뒷가지다. ‘노-박이’로 볼 수도 있는데, ‘-박이’는 ‘점박이’와 같이 ‘무엇(앞의 명사)이 박혀 있는 사람’의 뜻으로 쓰이기에 적절치 않다. ‘노박이’가 ‘노상이라는 것이 박힌 사람’으로 해석되지 않기 때문이다.

‘퍼붓듯이 많이 내리는 비’를 나타내는 말로 남북이 같이 쓰는 ‘장대비·억수·작달비’, 북녘에서 쓰는 ‘뚝비·무더기비·억수비·줄비·채찍비’ 등이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9870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6375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1387
    read more
  4. 노루귀

    Date2008.02.04 By바람의종 Views6584
    Read More
  5. 게르만 말겨레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8486
    Read More
  6. 돌서덕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9538
    Read More
  7. 이랑과 고랑

    Date2008.02.05 By바람의종 Views7320
    Read More
  8. 부처손

    Date2008.02.10 By바람의종 Views8679
    Read More
  9. ‘모라’와 마을

    Date2008.02.10 By바람의종 Views7916
    Read More
  10. 우랄 말겨레

    Date2008.02.10 By바람의종 Views8850
    Read More
  11. 노박비

    Date2008.02.11 By바람의종 Views8353
    Read More
  12. 돕다와 거들다

    Date2008.02.11 By바람의종 Views6574
    Read More
  13. 패랭이꽃

    Date2008.02.11 By바람의종 Views8965
    Read More
  14. 백두산

    Date2008.02.12 By바람의종 Views8159
    Read More
  15. 바스크말

    Date2008.02.12 By바람의종 Views6798
    Read More
  16. 물어름

    Date2008.02.12 By바람의종 Views8358
    Read More
  17. 춥다와 덥다

    Date2008.02.13 By바람의종 Views10115
    Read More
  18. 광대수염

    Date2008.02.13 By바람의종 Views8562
    Read More
  19. 두만강과 여진어

    Date2008.02.14 By바람의종 Views8560
    Read More
  20. 극동 언어들

    Date2008.02.14 By바람의종 Views8013
    Read More
  21. 귀지하다

    Date2008.02.15 By바람의종 Views9808
    Read More
  22. 서낭

    Date2008.02.15 By바람의종 Views7131
    Read More
  23. 씀바귀

    Date2008.02.15 By바람의종 Views7809
    Read More
  24. 남산 신성비

    Date2008.02.16 By바람의종 Views9101
    Read More
  25. 퉁구스 말겨레

    Date2008.02.16 By바람의종 Views1063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