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4

물과 땅이름

조회 수 821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과 땅이름

물은 어느 시대 어느 곳이나 생명과 다름이 없다. 땅을 기름지게 하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늘 새로운 생명을 싹틔우는 바탕이 물이다. 흔히 종교 행사로 치르는 ‘세례’ 또한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것을 의미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균여전>의 ‘항순중생가’에도 ‘대비 물로 적시어 이울지(시들지) 아니하겠더라’라는 시구가 나온다.

땅이름에 물과 관련된 것은 매우 많다. ‘물’의 옛말은  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성군’(매홀군), ‘매소홀현’(미추홀), ‘수곡성현’(매탄홀), ‘이천현’(이진매현)에 포함된 ‘매’(買)는 모두 ‘물’을 표기한 보기들이다. 그런데 이 낱말의 음은 산을 나타내는 ‘뫼’와 유사하며, 들을 나타내는   와 같다.

여기에서 우리는 ‘물’을 뜻하는  가, 산이나 들의 ‘뫼’와   처럼 ‘미’로 변화할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그런데 이 낱말은 ‘미’로 변화하지 않고, ‘믈’을 거쳐 ‘물’로 변화한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해답은 언어 변화의 기능 부담과 관련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나의 낱말 형태가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담당할 경우, 서로 다른 꼴로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산’과 ‘들’, 그리고 ‘물’을 모두 ‘미’로 일컫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는 달리 ‘나리’에서 온 ‘내’는 오랫동안 땅이름에 남는다. 예를 들어 ‘모래내’, ‘연신내’, ‘오목내’처럼, 물줄기를 뜻하는 ‘내’는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3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9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707
3282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497
3281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98
3280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99
3279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499
3278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500
3277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503
3276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07
3275 지슬 風文 2020.04.29 1508
327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511
3273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11
3272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12
3271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15
3270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8
3269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18
3268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19
3267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19
3266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2
3265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23
3264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526
3263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27
3262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28
3261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