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9:46

‘돌미’와 ‘살미’

조회 수 834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미’와 ‘살미’

서울 금천구 독산동이나 김포시 양촌면의 석산은 모두 ‘돌미’라 불리던 지역이었다. ‘돌미’에 들어 있는 ‘미’는 ‘산’을 뜻하는 ‘뫼’가 변한 말이다. 이처럼 산을 나타내는 말이 ‘미’로 변화한 땅이름은 매우 많다. 달이 뜨는 산을 뜻하는 ‘월출산’이나 ‘월악산’은 ‘달나미’, 또는 ‘달미’로 불린다.


그런데 ‘미’가 붙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모두 산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북 중원(충주)의 ‘살미’는 산과는 관련이 없다. 여기에 붙은 ‘미’는 ‘들판’을 뜻하는  ‘가 변화한 말이다.  ‘ 는 〈훈몽자회〉에도 나오는데, 한자 ‘야’(野)를 ‘ 야’로 풀이하였다. 또한 〈두시언해〉에도 ‘누른 흙  두듥엔 하늘 닭이 춤추놋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뫼’와   ‘는 소리가 비슷해서 모두 ‘미’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을 동음이의어라 부른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는 동음이의어가 생겨날 경우, 뜻을 변별하기 위해 어느 한 낱말은 다른 말로 대체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예컨대 ‘계절’을 뜻하는 ‘녀름’이 머릿소리규칙에 따라 ‘여름’으로 변화하면, 본디 있던 ‘여름’은 ‘열매’로 바뀐다. 그런데 땅이름에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는 이처럼 자유로운 변화를 보이지 못한다. 충북 제천에서는 ‘살미’를 ‘미산’이라 부르는데, 이 땅이름은 ‘쌀이 산처럼 쌓였다’는 전설보다는 ‘미’의 동음이의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2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9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637
3282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523
3281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526
3280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26
3279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528
3278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529
3277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9
327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30
3275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31
3274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531
3273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532
3272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34
3271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535
3270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35
3269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36
3268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37
3267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40
3266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542
3265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45
3264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46
3263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552
3262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53
3261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