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18 06:29

도우미

조회 수 816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우미

2년 전쯤이다. 인기가 높은 한 방송극에서 여주인공이 ‘헬퍼’라는 직업으로 등장하는 것을 보고 제대로 자리를 잡아가는 ‘도우미’라는 우리말이 ‘헬퍼’에 자리를 빼앗기지는 않을까 걱정한 적이 있다. 극작가로서는 외래어가 더 세련된 표현이라고 생각했을지 모르겠지만 ‘(가사) 도우미’라는 좋은 말이 있는데 하필 보편화되지도 않은 ‘(리빙) 헬퍼’라는 말을 썼을까 하는 아쉬움이 더했다. 드라마 영향만은 아니겠지만 결국 ‘헬퍼’라는 말은 ‘가정부, (가사) 도우미’ 등으로 불리던 직업의 또다른 말로 자리를 잡고 말았다.

우리말보다 외래어가 더 세련된 표현이라는 막연한 인식 탓에 외래어 새말이 우리말을 밀어내는 사례가 많다. 백화점에 ‘목도리 매장’은 없고 ‘머플러 코너’가 있다. 회의를 할 때 명단과 일정을 점검하기도 하지만 ‘미팅을 세팅할 때 리스트와 스케줄을 체크’하기도 한다.

외래어 새말이 큰 세력을 얻지 못하거나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라이프가드’(life guard)보다는 ‘안전 요원’이 훨씬 많이 쓰이고, ‘데빗카드’(debit card)보다는 ‘직불카드’가 익숙하다. 이렇게 새로 들어온 외래어보다 우리말이 쉽고 간단할 때는 호락호락 자리를 빼앗기지 않는다. 이미 쓰던 말이 있는데 비슷한 의미의 새말이 생기면 기존의 말과 경쟁 관계에 놓인다. ‘베이비시터’, ‘실버시터’와 자리를 다투는 ‘아이 돌보미, 경로도우미’ 등의 새말들이 널리 자리잡기 바란다. 말은 가려쓰려고 노력하는 사람을 따른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6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1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160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504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872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66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61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292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02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17
338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385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00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59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27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73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097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697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21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953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68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35
337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762
»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65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390
337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