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7 01:04

청소년의 새말

조회 수 11191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청소년의 새말

20여 년 전만 해도 유행어를 만들어 내는 이들은 주로 대학생들이었다. ‘바보’(바라볼수록 보고 싶은 사람), ‘옥떨메’(옥상에서 떨어진 메주 덩어리) 등의 재미있는 말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유행했다. 인터넷이 의사소통과 문화 확산의 주된 매체로 자리잡으면서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들의 나이대가 낮아지고 전파 속도도 빨라졌다. 이들이 새말을 만들어 쓰는 이유로는, 크게 시간 제약, 공간 제약, 집단의식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빨리 글을 쓰려고 이어 적고(머시따), 줄여 적고(셤), 단어나 음절을 숫자로 대신한다(쪽8리다). 짧은 글에 감정을 나타내고자 자음·모음 등을 교체하고(그리구), 문장부호를 겹쳐 쓰며(!!!), 그림말을 사용한다(^^;). 이런 말들은 또래끼리 소통하는 곁말(은어)로 자리잡았다.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의 문화가 다른 것이 자연스러운데도 새말이 문제가 되는 것은 소통에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이 직접적인 대화보다는 인터넷이나 이동통신을 통한 의사소통을 선호하고, 기성세대는 이들과 대화할 여유가 없으므로 세대 단절이 깊어진 것이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새말 만들기가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기발한 새말을 통해 청소년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엿볼 수 있다. 무조건 쓰지 말라고 청소년들을 다그칠 것이 아니라 학습 공간, 공적인 장소, 어른과 대화하는 자리에서 바른 말을 쓸 수 있는 분별력을 기르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1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7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718
25 뇌까리다 風磬 2006.10.30 11218
24 넓이뛰기 風磬 2006.10.30 10500
23 넋두리 風磬 2006.10.30 8555
22 내숭스럽다 風磬 2006.10.30 10159
21 남세스럽다 風磬 2006.10.30 11081
20 나리 風磬 2006.10.10 16953
19 꼬투리 風磬 2006.10.10 13705
18 구년묵이(구닥다리) 風磬 2006.10.10 15176
17 괄괄하다 風磬 2006.09.29 14524
16 곤죽 風磬 2006.09.29 12413
15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96
14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73
13 고뿔 風磬 2006.09.16 15586
12 고명딸 風磬 2006.09.16 15744
11 게거품 風磬 2006.09.14 19606
10 괴발개발(개발새발) 風磬 2006.09.14 21211
9 겻불 風磬 2006.09.14 16118
8 개차반 風磬 2006.09.14 16212
7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128
6 요, 오 風磬 2006.09.09 20336
5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0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