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6 16:55

북한의 ‘한글날’

조회 수 18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북한의 ‘한글날’

북한에도 한글날이 있을까? 북한에도 우리글을 기념하는 날이 있긴 하다. 그런데 날짜도 이름도 우리와 달라서 북한 사람들에게 한글날이 있는지 물어보면 아마도 없다고 대답할 것이다.

북한에서는 ‘한글’ 대신 ‘조선글’이라고 한다. 그렇다고 ‘조선글날’이 있는 것은 아니고 1월 15일을 ‘훈민정음 창제일’로 정해서 기념하고 있다. 남북한이 같은 문자를 사용하는데 이처럼 기념일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북한이 훈민정음 ‘창제’를 기리는 데 반해, 우리는 ‘반포’를 기념하기 때문이다. 훈민정음은 세종 25년(1443년) 음력 12월에 창제되어 세종 28년(1446년) 음력 9월 상순에 반포되었다.

한글날은 1926년에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이라는 이름으로 기념한 것이 시초이다. 1928년부터는 이름을 한글날로 바꾸고, 광복 후에는 불편한 음력 대신 양력 10월 9일로 날짜를 정하였다. 10월 9일로 정한 데에는 1940년 안동에서 발견된 ‘훈민정음’ 원본에 있는 ‘정통(正統) 11년 9월 상한’이라는 기록이 근거가 되었다. 9월 상한의 마지막 날인 9월 10일을 1446년을 기준으로 양력으로 환산한 날짜가 10월 9일이다.

북한은 ‘조선왕조실록’ 1443년 12월 30일자에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으셨다”라는 기록으로부터 창제일을 추정했다. 정확히 12월 어느 날에 새 문자가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어 그 달의 중간인 15일로 정하고, 그 날짜를 양력으로 환산하여 1월 15일을 기념일로 삼았다.

우리는 한글날을 공휴일로 정해 놓고 해마다 다양한 기념행사를 벌여 우리 말과 글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기회로 삼는다. 이와 달리 북한은 훈민정음 창제일을 비교적 조용히 지내기에 북한 사람들 중에는 1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459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1117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5904
    read more
  4. 그림과 말, 어이, 택배!

    Date2022.09.16 By風文 Views1531
    Read More
  5. 용찬 샘, 용찬 씨

    Date2023.04.26 By風文 Views1534
    Read More
  6. 말의 미혹

    Date2021.10.30 By風文 Views1536
    Read More
  7.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Date2022.07.27 By風文 Views1536
    Read More
  8. 지슬

    Date2020.04.29 By風文 Views1537
    Read More
  9. 야민정음

    Date2022.01.21 By風文 Views1537
    Read More
  10.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Date2022.06.09 By風文 Views1537
    Read More
  11. 올가을 첫눈 / 김치

    Date2020.05.20 By風文 Views1538
    Read More
  12. 날씨와 인사

    Date2022.05.23 By風文 Views1538
    Read More
  13. 말하는 입

    Date2023.01.03 By風文 Views1538
    Read More
  14. 더(the) 한국말

    Date2021.12.01 By風文 Views1541
    Read More
  15. 경평 축구, 말과 동작

    Date2022.06.01 By風文 Views1541
    Read More
  16.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Date2022.06.18 By風文 Views1542
    Read More
  17.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Date2022.09.20 By風文 Views1542
    Read More
  18.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Date2022.07.22 By風文 Views1543
    Read More
  19.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Date2022.07.28 By風文 Views1543
    Read More
  20. 상석

    Date2023.12.05 By風文 Views1544
    Read More
  21.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Date2022.02.24 By風文 Views1545
    Read More
  2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Date2023.12.30 By風文 Views1547
    Read More
  23. 사저와 자택

    Date2022.01.30 By風文 Views1548
    Read More
  24.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Date2022.04.27 By風文 Views1548
    Read More
  25.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Date2022.06.22 By風文 Views155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