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4 11:00

‘폭팔’과 ‘망말’

조회 수 11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폭팔’과 ‘망말’

방송이나 신문에서 ‘폭팔’과 ‘망말’이라는 말을 자주 접할 수 있다. “○○, 카리스마 폭팔”과 “망말…주변국 반발”처럼 ‘폭팔’과 ‘망말’을 빈번하게 쓰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폭팔’과 ‘망말’은 각각 한자어인 ‘폭발(暴發)’과 ‘망발(妄發)’의 잘못이다. 폭발은 ‘감정, 힘, 열기 따위가 일시에 세찬 기세로 나옴’을, 망발은 ‘망령이나 실수로 그릇되게 하는 말이나 행동’을 뜻한다.

먼저 ‘폭발(暴發)’은 앞 음절과 뒤 음절의 첫소리가 각각 ‘ㅍ’과 ‘ㅂ’으로 모두 순음(입술소리)이다. 그런데 앞 음절 ‘ㅍ’의 영향으로, 뒤 음절의 ‘ㅂ’을 ‘ㅍ’으로 잘못 발음하게 되었다. 즉, [폭빨]이 아닌 [폭팔]로 발음하게 되었다. 또한 거기에 그치지 않고, 잘못된 발음에 따라 ‘폭팔’로 적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다.

‘망발(妄發)’ 또한 앞 음절과 뒤 음절의 첫소리가 각각 ‘ㅁ’과 ‘ㅂ’으로 모두 순음이다. 그런데 앞 음절 ‘ㅁ’의 영향으로, 뒤 음절의 ‘ㅂ’을 ‘ㅁ’으로 잘못 발음하게 되었다. 즉, [망:말]로 발음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고유어 ‘막말’ 및 한자어 ‘망언(妄言)’도 얼마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함부로 하는 말’을 뜻하는 고유어 ‘막말([망말]로 소리 남)’ 및 ‘이치나 사리에 맞지 아니하고 망령되게 하는 말’을 뜻하는 ‘망언(妄言, [망:언])’과 크게 혼동을 일으켜 이런 잘못이 일어났다.

‘폭팔’과 ‘망말’은 모두 한자어 ‘폭발’과 ‘망발’의 잘못된 발음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이는 어휘 지식이 크게 부족한 사람들에게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잘못이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1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077
3215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604
3214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133
321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183
3212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22
3211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1708
»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71
3209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62
3208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452
3207 “김” 風文 2023.03.06 1534
3206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491
3205 “사겨라” “바꼈어요” new 風文 2024.05.31 27
3204 “산따” “고기떡” “왈렌끼” new 風文 2024.05.31 15
320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383
320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50
3201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273
3200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37
3199 ○○노조 風文 2022.12.26 1216
3198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00
3197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576
3196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554
3195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