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2 16:03

한 두름, 한 손

조회 수 12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 두름, 한 손

받고 싶은 추석 선물 1위로 한우가 꼽혔다고 한다. 부동의 1위였던 현금은 2위로 밀렸다. 한우 값 폭등이 원인이라는 분석 기사를 보면서 주머니 사정 생각하니 머릿속이 복잡해진다. 한우에 밀리긴 했지만 굴비도 예나 지금이나 최고급 선물에 속한다. 굴비는 아직도 새끼로 엮어 파는 전통이 남아 있다. 조기 같은 생선을 한 줄에 열 마리씩 두 줄로 엮은 것, 즉 20마리를 한 두름이라고 한다. 오징어도 20마리를 묶어 파는데 이를 ‘축’이라고 한다. 북어 스무 마리를 묶은 것은 ‘쾌’이다. 유독 스물을 나타내는 단위가 많다. 한약 스무 첩은 한 제이다.

‘고등어 한 손’하면 고등어 두 마리를 말한다. ‘손’은 한 손에 잡을만한 분량을 나타내는 말로 조기, 고등어, 배추 등의 한 손은 큰 것 하나와 작은 것 하나를 합한 것을 이른다. 미나리나 파 등의 한 손은 한 줌 분량을 말한다. 참 정겨운 표현이다. 그릇 열 개는 한 죽이다. 옷 열 벌도 ‘죽’이라고 한다. 버선 한 죽(열 켤레), 접시 한 죽과 같이 쓴다. 흔히 서로 뜻이 잘 맞을 때 ‘죽이 잘 맞다’ 고 하는데 여기에서 비롯된 말이다. 한 접은 채소나 과일 100개를 묶어 세는 단위이다. 예전에 우리 어머니는 배추 두 접씩 김장을 하곤 하셨는데 요즘 배추 200포기 김장하는 집이 얼마나 될까 싶다. 마늘, 곶감 등도 접을 쓴다. 오이, 가지 등을 셀 때에는 ‘거리’를 쓰기도 한다. 한 거리는 50개이다. 김을 묶어 세는 단위는 ‘톳’이다. 김 한 톳은 백 장이다.

선물도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것처럼 이제는 사라져 가는 우리말도 많다. 단위를 나타내는 말들이 특히 그렇다. 추석을 앞두니 이런 말들이 멀어져 가는 게 더 아쉽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11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083
3414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61
341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06
3412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14
3411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74
34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11
3409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55
3408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468
3407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079
3406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97
340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489
340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890
3403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991
340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169
3401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290
340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54
3399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90
3398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162
3397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07
3396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49
3395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500
3394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91
3393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